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010)
    • 자가면역질환 (198)
    • 류마티스관절염 (108)
    • 기타 질환 (640)
    • 식단 관리 (63)

검색 레이어

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안면신경 마비의 치료방법 2_수술적 치료

    2022.09.26 by gaulharu

  • 안면신경 마비의 치료방법 1_보존적 치료

    2022.09.16 by gaulharu

  • 안면신경 마비의 검사방법과 진단

    2022.09.15 by gaulharu

  • 안면신경 마비(얼굴신경 마비)의 원인은?

    2022.09.04 by gaulharu

  • 안면신경 마비(얼굴신경 마비)란?

    2022.08.31 by gaulharu

  • 성조숙증의 치료방법 2_약물치료(GnRH 길항제 外)

    2022.08.28 by gaulharu

  • 성조숙증의 치료방법 1_약물치료(GnRHa)

    2022.08.17 by gaulharu

  • 성조숙증의 원인과 검사방법

    2022.08.08 by gaulharu

안면신경 마비의 치료방법 2_수술적 치료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수술적 치료는 추천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벨 마비 및 람세이 헌트 증후군에서 안면 마비의 정도가 급격히 나빠져서 검사상 심한 상태가 되면 발병 후 7일 내에 외과적으로 안면 신경 감압술을 시행하는 것이 예후가 좋습니다. 얼굴의 외상이나 종양 수술 후유증으로 안면 신경이 단순히 절단된 경우에는 안면 신경근육의 쇠약이 심해지기 전에 신경을 이어주면 대부분의 경우 결과가 좋아집니다. 이때 신경과 신경의 두 끝의 거리가 먼 경우에는 신경 이식술을 이용합니다. 신경의 마비로 인해 근육이 차차 쇠퇴하고, 2년 이상 경과하여 근육이 소실되면 수술이 복잡해지며 효과도 불완전합니다. ◈ 안면신경 마비의 치료방법 2_수술 안면신경감압술, 일차 신경봉합술, 신경개입이식법, 설하-안면신경 교차문합술,..

기타 질환 2022. 9. 26. 23:02

안면신경 마비의 치료방법 1_보존적 치료

◈ 안면신경의 손상 정도 ▷1도 손상 단순한 신경 무작동, 생리적 전도 차단이 있는 것으로 정상과 동일하게 전기자극에 반응하고 신경 압박만 제거되면 3주 경과 후 회복이 시작됩니다. ▷2도 손상 축삭 절단으로 인해 신경의 손상이 어느 정도 있으나, 3주~2개월 경과 후 회복이 시작되어 완전 회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3도 손상 신경 손상이 발생한 것으로 전기자극검사에 반응이 현저히 감소되어 2~4개월 후부터 회복이 시작되어 어느 정도 안면마비의 후유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4도 손상 신경 손상이 심해 4~18개월 후에 회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5도 손상 전체 신경조직이 절단된 상태로 안면마비나 떨림 등의 후유증이 심하게 남을 수 있습니다. ◈ 안면신경 마비의 치료방법 1_보존적 치료 안면신경 ..

기타 질환 2022. 9. 16. 22:16

안면신경 마비의 검사방법과 진단

안면신경 마비는 신경과 전문의의 신경학적 검사로 쉽게 진단이 가능합니다. 심한 정도를 알기 위해서는 증상이 생긴 지 약 2주 후에 안면 근전도 검사를 통해 안면신경의 손상 정도를 알 수 있어 예후를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신경변성의 진행이 멈추는 발병 후 2~3주 후 다시 검사를 추적해 신경의 손상을 예측해 향후 후유증 여부를 판단합니다. 검사 당일에는 피부에 로션이나 크림 등을 바르거나 화장을 하지 않아야 합니다. ▷중추성 안면신경 마비 중추성 안면신경 마비가 있는 경우에는 뇌 자기 공명 영상(MRI)이나 뇌 컴퓨터 단층촬영(CT)을 촬영하여 뇌병변을 확인해야 합니다. ▷말초성 안면신경 마비 말초성 안면신경 마비는 대부분의 경우가 벨마비이고, 증상 진행이 대부분 유사하므로 환자의 증상이 전형적인 ..

기타 질환 2022. 9. 15. 23:22

안면신경 마비(얼굴신경 마비)의 원인은?

안면신경 마비는 이를 유발한 특별한 원인을 찾을 수 있는 경우도 있고,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안면신경 마비를 초래하는 가장 흔한 원인은 벨마비(Bell’s palsy)로 전체 환자의 약 51% 정도를 차지합니다. 그다음으로 외상(22%), 이성대상포진(herpes zoster oticus) (7%), 종양(6%), 감염(4%), 선천성 질환을 포함하여 출생과 연관된 경우(3.5%), 편측 안면경련(hemifacial spasm)(2%), 중추신경계 병변(1%), 비전형적인 벨마비(0.5%)의 순으로 빈도를 보입니다. 기타 독성, 대사성 및 의인성 원인도 일부를 차지합니다. 소아의 경우 성인보다 발병률이 적기는 하지만 안면근육의 약화로 인한 언어의사 소통에 큰 장애를 초래하며, 소아기의 사회화 과정에 있..

기타 질환 2022. 9. 4. 23:39

안면신경 마비(얼굴신경 마비)란?

◈ 안면신경 마비(얼굴신경 마비, 구안와사)란? 눈을 깜박이거나 표정을 짓는 행위가 얼굴 근육의 수축과 이완에 의해서 일어나게 되는데, 이러한 근육을 지배하는 것이 바로 안면신경입니다. 안면신경이란 운동, 감각 및 부교감신경섬유로 구성되어 있는 혼합신경을 말합니다. 주로 얼굴의 근육을 지배하는 신경으로 뇌에서부터 측두골인 귀 뒤의 작은 구멍을 통해 얼굴로 나와서 다섯 가닥으로 나누어지며, 얼굴 양쪽의 얼굴 근육을 지배하고 있습니다. 말을 하고 음식을 먹을 때 입을 움직이게 하고, 타액의 분비에 관여하며 혀의 미각과 청각에도 일부 작용하는 중요한 신경입니다. 하지만 얼굴 근육의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는 질환이나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얼굴 근육의 근력 약화에 의해 안면신경 마비(얼굴신경 마비)가 발생합니..

기타 질환 2022. 8. 31. 23:16

성조숙증의 치료방법 2_약물치료(GnRH 길항제 外)

◈ 진성 성조숙증의 치료방법 2_GnRH 길항제 GnRH 길항제는 GnRH 작용제(RnRHa)보다 투여 시에 빠르고 즉각적인 효과를 보이며, 투여 초기에 생식샘 자극호르몬 분비의 촉진 효과가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생식샘자극호르몬 분비의 가역적인 억제가 24~72 시간 정도밖에 지속되지 않아서 현재는 주로 체외 수정 시술 시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Cetrorelix와 ganirelix 등의 두 가지 제제가 국내에 수입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부작용은 GnRH 작용제와 비슷하여 안면 홍조, 기분 변화, 두통, 골밀도 감소 등을 보일 수 있습니다. 작용 시간이 보다 더 긴 제제가 개발된다면 소아청소년기 성조숙증에서 사춘기의 진 행을 억제하여 최종 성인 신장을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도 사용이 가능할 ..

기타 질환 2022. 8. 28. 21:17

성조숙증의 치료방법 1_약물치료(GnRHa)

◈ 성조숙증의 치료방법 성조숙증으로 초경이 너무 일찍 시작된 여아는 청소년기에 조기 임신, 성적 학대, 알코올이나 약물중독, 행동장애 등의 사회심리적 문제를 가져올 위험성이 높습니다. 또한 성호르몬의 증가로 조기에 골단이 융합되어 저신장을 초래하게 됩니다. 이외에도 최근 연구에 의하면 사춘기가 빨리 시작되면 성인이 되었을 때 고혈압, 비만, 2형 당뇨병 등의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도가 증가합니다. 유방암의 발생 위험도가 높아진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성조숙증 치료의 목적은 기질적인 원인이 있는 경우 그 원인 질환에 대한 치료와 성조숙증으로 인해 초래될 수 있는 저신장과 심리적인 장애의 개선입니다. 일반적으로 가장 흔한 원인인 특발성(원인 질환이 없는) 성조숙증의 경우에는 모든 아이들을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

기타 질환 2022. 8. 17. 22:55

성조숙증의 원인과 검사방법

◈ 성조숙증의 원인 사춘기의 시작 시기는 인종이나 가족력 등의 유전적 요인과 영양상태, 스트레스, 만성질환, 부당경량아, 내분비 교란 물질 등의 환경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여자의 초경 연령은 서구 유럽이나 미국의 경우 19세기 17세에서 1960년 13세로 빨라졌고 최근에는 12.4세에서 12.8세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1920년대 출생한 여자의 경우 16.5세였으나 1980년대 출생은 13.1세, 1990년 출생은 12.6세로 계속 빨라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사춘기의 시작이 빨라지는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져 있지는 않지만 몇 가지 원인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1) 비만 & 영양상태 예전에 비해 영양상태가 좋아지고 비만한 아이들이 많아지고 있는데 이것이 사춘기 조..

기타 질환 2022. 8. 8. 23:30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반응형

페이징

이전
1 2 3 4 ··· 127
다음
TISTORY
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