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010)
    • 자가면역질환 (198)
    • 류마티스관절염 (108)
    • 기타 질환 (640)
    • 식단 관리 (63)

검색 레이어

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류마티스관절염

  • 건염/건초염의 치료와 예방 방법

    2022.05.22 by gaulharu

  • 건염/건초염의 원인과 검사방법

    2022.05.19 by gaulharu

  • 손과 손목에서 느껴지는 통증, 건염과 건초염이란?

    2022.05.17 by gaulharu

  • 류마티스관절염의 치료 약물_ COX-2 억제제의 장점(2)과 단점

    2021.11.07 by gaulharu

  • 류마티스관절염의 치료 약물_ COX-2 억제제의 장점(1)

    2021.11.06 by gaulharu

  • 류마티스관절염의 치료 약물_ COX-2 억제제란?

    2021.11.04 by gaulharu

  • 족저근막염의 치료방법 2_약물치료/물리치료/수술 치료/예방법

    2021.07.28 by gaulharu

  • 족저근막염의 진단과 치료방법 1(보존적 치료)

    2021.07.27 by gaulharu

건염/건초염의 치료와 예방 방법

◈ 건염 / 건초염의 치료 건염/건초염은 당장 수술해야 하는 중증 질환은 아니지만, 가벼운 통증밖에 없다고 방치하면 만성 질환이 되어 일상생활을 불편하게 할 수 있습니다. 건초염의 치료는 염증과 통증을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염증 발생 부위의 사용을 최대한 자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과부하된 부분에 휴식을 주어야 합니다. 건초염 초기 1~2일은 통증 부위를 사용하면 안 됩니다. 쉬면서 찜질을 병행하면 좋습니다. 붓기나 열감이 있을 때는 냉찜질이 좋고, 열감이 없고 통증만 있을 때는 온찜질을 해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줘야 합니다. 냉찜질은 얼음을 수건으로 감싸서 하고, 온찜질은 수건을 물에 적셔 전자레인지에 돌린 후 온기가 식을 때까지 합니다. 찜질은 20~30분씩 1일 2회 정도 하는 것이 좋습니..

류마티스관절염 2022. 5. 22. 23:25

건염/건초염의 원인과 검사방법

◈ 건염/건초염의 원인 건염/건초염은 기저 병태가 원인일 수도 있습니다. 건을 둘러싼 건초에 포도상구균이나 결핵균에 의한 감염으로 인한 염증이 생길 수 있지만 드문 편입니다. 그 외에 통풍과 류마티스관절염 이후 발생되기도 하는 만성 건초염도 있습니다. 이처럼 건염/건초염을 초래할 수 있는 병태들의 예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류마티스관절염 ▷경피증 ▷통풍 ▷당뇨병 ▷라이터 증후군 또는 반응성 관절염 ▷임질 신체 어느 부위나 반복적으로 사용하면 탈이 납니다. 그중 건염/건초염은 힘줄을 무리하게 사용할 때 생기는 질환입니다. 직장일이나 수공예, 가사 등으로 장시간 손을 쓰는 사람들에게 일어나기 쉬우며 여성에게 많이 일어나는 게 특징입니다. 특히 건염/건초염은 임신 중이나 출산 직후 때로는 갱년기 여성에게 많..

류마티스관절염 2022. 5. 19. 23:24

손과 손목에서 느껴지는 통증, 건염과 건초염이란?

손목 부위의 통증은 대부분 건과 건초에 발생하는 염증성 또는 퇴행성 과정으로 유발됩니다. 건(힘줄)은 근육과 뼈를 연결하는 강한 섬유의 묶음 또는 띠를 말하는데, 이것은 근육에서 뼈로 힘을 전달하여 관절의 움직임을 만들어냅니다. 힘줄 장애(tendon disorder)란 힘줄이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못하게 되는 의학적 상태로, 이러한 장애는 두 종류의 힘줄에서 발생합니다. 덮개(sheath)가 없는 힘줄 과 덮개가 있는 힘줄 이 있어서 건염(Tendinitis)은 덮개가 없는 힘줄의 장애이며, 건초염 (tenosynovitis)은 덮개가 있는 힘줄의 장애를 뜻합니다. 진단은 이러한 해부학적 구조에 따라서 건윤활막염(peritendonitis), 건초염(tenosynovitis), 건염(tendonitis)..

류마티스관절염 2022. 5. 17. 23:25

류마티스관절염의 치료 약물_ COX-2 억제제의 장점(2)과 단점

◈ COX-2 억제제의 장점(2) 1) 출혈 경향의 감소 혈소판에서 생성되는 프로스타노이드는 혈소판의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혈관 수축에도 관여합니다. 강력한 프로스타노이드 중 하나인 트롬복산 A2(thromboxane A2)는 COX-1과 관련하여 생성되며, 따라서 COX-2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COX-2 억제제는 혈소판의 기능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24명의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고용량의 세레콕시브(600mg 하루 2번)와 표준 용량의 나프록센(500mg 하 루 2번), 위약을 10일간 투여한 후 혈소판 응집과 출혈 시간, 혈청 트롬복산을 비교한 연구에서 고용량의 세레콕시브는 위약군과 마찬가지로 혈소판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했습니다. 이러한 혈소판 기능의 유지는 항응고제를 ..

류마티스관절염 2021. 11. 7. 23:06

류마티스관절염의 치료 약물_ COX-2 억제제의 장점(1)

현재 국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COX-2 억제제(선택적 NSAIDs, 비스테로이드 소염제)는 세레콕시브, 에토리콕시브, 폴마콕시브 등 모두 3종입니다. 다행히 이들 약물 중 일부는 심혈관 위험이 증가되지 않는다는 근거를 확보했습니다. 효과 또한 대부분 류마티스관절염 또는 골관절염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연구를 통해 비선택적 NSAIDs(비스테로이드 소염제) 제제와 비열등성을 입증해 임상에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COX-2 억제제의 장점은 살펴보겠습니다. ◈ COX-2 억제제의 장점(1) 1) 항염 및 통증 완화 효과 COX-2 억제제의 가장 큰 장점은 비선택적 NSAIDs(비스테로이드 소염제)와 비교하여 월등히 적은 위장관계 출혈 위험을 보이는 동시에 동등한 항염 효과 및 통증 완화 효과를 보인다는..

류마티스관절염 2021. 11. 6. 00:00

류마티스관절염의 치료 약물_ COX-2 억제제란?

◈ 비스테로이드 소염제(NSAIDs)와 COX-2 억제제 류마티스관절염에서 많이 사용되는 비스테로이드 소염제(non-sterio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는 통증과 발열을 동시에 감소시킬 수 있는 약입니다. 고용량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항염증 작용도 함께 나타낼 수 있는 약제입니다. 최초의 비스테로이드 소염제(NSAIDs)라 할 수 있는 성분은 살리실산염(salicylate)으로서 1700년대 후반에 발견되었고, 1950년대에 들어서 페닐부타존(phenylbutazone)이 비살리실산염의 NSAIDs로서 개발되었습니다. 비스테로이드 소염제(NSAIDs)라는 용어는 1960년대에 처음 사용되었는데, 이는 또 하나의 강력한 항염증 작용을 가진 약제인 스테로이드제와 구별하기..

류마티스관절염 2021. 11. 4. 22:48

족저근막염의 치료방법 2_약물치료/물리치료/수술 치료/예방법

◈ 족저근막염의 치료방법 2_약물치료 1)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 부종이 동반된 급성기 족저근막염의 경우에는 비스테로이드 소염 진통제가 효과 있으나, 장기간 사용하는 것은 여러 부작용을 감안할 때 권장되지 않습니다. 만성화된 경우 복용하는 소염제의 효과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습니다. 2) 스테로이드 주사 요법 다른 보존적 치료를 충분히 사용한 후에도 증상 호전이 없을 때 고려할 수 있습니다. 스테로이드 주사의 반복 사용은 족저근막의 급성 파열 위험이 있고 뒤꿈치 지방 패드의 위축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족저근막염의 치료방법 2_물리치료 1) 체외 충격파 요법(ESWT,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많은 의사들이 체외충격파 치료를 권장합니다. 체외충격파 치료는 신체 ..

류마티스관절염 2021. 7. 28. 00:01

족저근막염의 진단과 치료방법 1(보존적 치료)

◈ 족저근막염의 진단 방법 족저근막염의 진단은 신체 검진을 통한 증상의 확인이 주된 방법입니다. 족저근막염의 특징적인 증상과 발뒤꿈치뼈 전내측 종골 결절 부위의 명확한 압통점을 찾으면 진단이 가능합니다. 또한, 족저근막의 방향을 따라 발바닥에 전반적인 통증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발가락을 발등 쪽으로 구부리거나 환자가 발뒤꿈치를 들고 서 보게 하여 통증이 증가되는 것을 보는 것도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방사선 검사 X-ray 검사에서 발뒤꿈치 골극(비정상적으로 뼈가 자라나는 현상)이 있을 수 있지만 이는 족저근막과 반드시 연관되지는 않습니다. 즉, 골극은 증상이 없는 사람에게도 있을 수 있으며, 골극을 없애도 통증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방사선 검사는 역학 이상 확인, 골절이나 종양 또는..

류마티스관절염 2021. 7. 27. 00:21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반응형

페이징

이전
1 2 3 4 ··· 14
다음
TISTORY
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