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010)
    • 자가면역질환 (198)
    • 류마티스관절염 (108)
    • 기타 질환 (640)
    • 식단 관리 (63)
홈태그방명록
  • 자가면역질환 198
  • 류마티스관절염 108
  • 기타 질환 640
  • 식단 관리 63

검색 레이어

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신장 결석의 치료방법 4_개복수술/복강경·로봇 결석 제거술

    2022.07.16 by gaulharu

  • 신장 결석의 치료방법 3_체외충격파 쇄석술(2)

    2022.07.13 by gaulharu

  • 신장 결석의 치료방법 3_체외충격파 쇄석술(1)

    2022.07.10 by gaulharu

  • 신장 결석의 치료방법 2_약물요법

    2022.07.08 by gaulharu

  • 신장 결석의 치료방법 1_보존적 치료

    2022.07.06 by gaulharu

  • 신장 결석(요로 결석)의 검사방법

    2022.07.04 by gaulharu

  • 신장 결석의 증상과 원인은?

    2022.07.02 by gaulharu

  • 등이나 옆구리의 극심한 통증, 신장 결석(요로 결석)이란?

    2022.06.28 by gaulharu

신장 결석의 치료방법 4_개복수술/복강경·로봇 결석 제거술

신장 결석은 비교적 흔한 질환 중 하나로 환자에게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고, 재발률이 높아 환자의 삶의 질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주로 백인에게 호발하며 덥고 건조한 지역에서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국내에서도 서구화된 생활습관과 식생활의 변화로 결석의 발병률 및 유병률이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최근 발표된 국내 보고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 2000년 이후 요로결석의 평균 발생률은 매년 약 3,000명 이상이고, 유병률은 2002년 3,172명에서 2013년 5,758명으로 두 배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1980년대 체외충격파 쇄석술이 도입된 이래 입원이나 마취가 필요치 않고 비침습적인 치료가 가능하다는 장점 등으로 국내에서는 다수의 신장 결석이 체외충격파 쇄석술로 치료되어 왔습니다. ..

기타 질환 2022. 7. 16. 22:01

신장 결석의 치료방법 3_체외충격파 쇄석술(2)

◈ 체외충격파 쇄석술의 합병증 일반적으로 체외충격파 쇄석술은 수술에 비해 합병증이 적고 정도도 미약합니다. 충격파 쇄석술 시술 과정에는 심장박동 장애 증상이 11~59%에서 보고되고 있습니다. 시술 직후 신성 산통이 2~4%까지 보고되고 있으며, 매우 드물게 신장 혈종에 의한 심한 통증이나 패혈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시술 후 4~7%에서 결석로 형성에 의한 추가적인 시술이나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증상을 동반한 혈종이 가장 심한 형태의 합병증 중 하나이나, 1% 미만에서 보고되고 있습니다. 무증상 혈종은 4~19%까지 보고되나 대부분 자연 회복됩니다. 장기 합병증으로는 잔석에 의한 재성장이 21~59%까지 보고되고 있어 시술 후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 체외충격파 쇄석술의 성공률 향상..

기타 질환 2022. 7. 13. 22:08

신장 결석의 치료방법 3_체외충격파 쇄석술(1)

◈ 체외충격파 쇄석술(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ESWL) 체외충격파 쇄석술은 1980년대 초에 도입된 이래 신장 결석과 요관 결석의 치료에 있어 효과적이면서도 안전한 방법으로 활용되어 왔습니다. 체외에서 발생시킨 고밀도의 음향 펄스를 반사 장치를 통해 표적 위치로 집중시켜 타 장기에 가해지는 부수적인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결석을 분쇄하는 방식입니다. 다양한 기계적, 물리적 원리 중 공동현상 (cavitation)이 가장 핵심적인 분쇄 원리로, 크기나 위치와 관계없이 대부분의 결석의 치료에 있어 1차적인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내시경적 수술의 발달로 상대적으로 크기가 매우 큰 결석의 치료나 해부학적 변이가 동반된 결석의 치료에 있어서의 사용은 다..

기타 질환 2022. 7. 10. 23:32

신장 결석의 치료방법 2_약물요법

신장 결석에 의한 급성 증상이 동반된 경우, 보존적 치료가 1차적으로 시행됩니다. 하지만 배출되지 않은 결석은 통증, 감염 등의 증상 재발을 야기할 수 있고 위치에 따라서는 신장 기능의 저하 등을 유발할 수 있어, 원인인 결석의 배출이나 제거를 위한 근본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요관의 연동운동으로 충분한 수분 섭취만으로도 결석의 자연 배출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여러 요인 중 결석의 위치와 크기가 결석의 자연 배출의 가장 중요한 예측 인자입니다. 5mm 이하의 결석의 경우 68%, 5mm 이상 10mm 이하의 결석의 경우 47%에서 자연 배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자연 배출까지의 기간은 매우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지만, 5mm 이하의 요관 결석은 길게는 40일 이상 소요되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기타 질환 2022. 7. 8. 22:12

신장 결석의 치료방법 1_보존적 치료

신장 결석의 치료는 결석 요인, 요로계의 구조적 요인, 그리고 환자의 임상적 요인 등에 따라 결정됩니다. 크기가 작은 무증상의 신장 결석은 영상검사를 통해 주기적으로 추적 관찰하기도 하지만, 크기가 큰 신장 결석이나 증상이 동반된 요관 결석의 경우에는 보다 적극적인 치료 계획이 필요합니다. 치료 방법은 결석 제거율과 치료 관련 합병증을 감안하여 결정하며, 약물을 이용한 보존적 치료에서부터 체외충격파 쇄석술, 비뇨내시경 수술, 로봇 복강경 수술, 개복 수술까지 치료의 범위가 매우 넓습니다. ◈ 보존적 치료 증상을 동반한 신장 또는 요관 결석의 경우, 통증 조절과 함께 경구 또는 정맥을 통한 충분한 수분 공급, 이뇨제 투여 등의 보존적인 방법을 통해 결석의 자연 배출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주로 결석이 ..

기타 질환 2022. 7. 6. 22:58

신장 결석(요로 결석)의 검사방법

신장 결석의 진단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검사를 진행하게 됩니다. 병력 조사, 신체검사, 소변 검사, 혈액 검사 등이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결정적인 진단을 위해서는 영상 검사가 필수적입니다. ◈ 병력 조사 신장 결석의 위험 인자들을 확인합니다. 나이, 성별, 식습관, 물을 평소에 자주 마시는지, 가족 중에 신장 결석 환자가 있는지, 이전에 신장 결석을 앓은 적이 있는지를 확인합니다. 환자가 호소하는 통증이 아래쪽 허리나 옆구리에 있는지, 갑자기 시작되었고 정도가 심한지도 확인합니다. ◈ 신체 검사 통증을 호소하는 부위를 확인하고, 특히 허리 아래쪽의 어느 한쪽을 두드리면 심하게 아파하는지를 확인합니다. 결석이 커져 소변 흐름을 방해하면 복부 통증, 소화 불량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감염 시 심한..

기타 질환 2022. 7. 4. 23:03

신장 결석의 증상과 원인은?

◈ 신장 결석의 증상 신장 결석과 관련된 증상은 결석의 크기, 결석이 있는 위치, 그리고 감염이 있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무증상으로 검진이나 다른 병을 진단하기 위해 검사를 시행하는 과정에서 발견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신장 결석에서 흔히 발생하는 증상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통증 등이나 옆구리에 발생하는 통증은 신장 결석에서 발생하는 가장 흔한 증상이며, 강도가 약한 것부터 주사용 진통제가 필요할 정도로 강한 것 등 매우 다양합니다. 심한 통증은 주로 갑작스럽게 발생하며, 많은 사람이 생애 최악의 통증 중 하나라고 느낍니다. 진통제로도 없어지지 않는 심한 통증이 한쪽 또는 양쪽 허리에 나타납니다. 통증 위치는 질 하복부나 고환 쪽으로 뻗칠 수 있으며, 신장 결석이나 방광 결석의 경우에는 옆..

기타 질환 2022. 7. 2. 22:26

등이나 옆구리의 극심한 통증, 신장 결석(요로 결석)이란?

신장은 우리말로 '콩팥'이라고 불리며 좌우 양쪽에 하나씩 존재합니다. 신장은 혈액 속의 노폐물을 걸러내어 소변으로 배출하고, 혈액 속의 전해질 농도를 조절하거나 혈압을 조절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신동맥을 통해 신장 속으로 들어온 혈액은 '사구체'라는 가는 모세 혈관 다발을 거치면서 물과 전해질, 그리고 각종 노폐물을 보우먼 주머니 속으로 분비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소변은 세뇨관을 지나 신우로 흘러들어 가고, 신우에 모인 소변은 요로를 거쳐 방광에 저장되었다가 요도를 거쳐 몸 밖으로 배출됩니다. 신장 결석은 소변 안에 들어있는 물질들이 결정을 이루고 침착되어 마치 돌과 같은 형태를 이루어 콩팥 안에 생김으로써 여러 가지 증상과 합병증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신장 결석은 주로 신장 안에서 소변..

기타 질환 2022. 6. 28. 22:44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반응형

페이징

이전
1 2 3 4 5 6 ··· 127
다음
TISTORY
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