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자가면역질환이라면 반드시 피해야 할, 식품첨가물 1

식단 관리

by gaulharu 2020. 6. 13. 01:16

본문

식품첨가물이란 식품 제조 시 보존기간의 연장, 착색, 단맛 부여 등 다양한 기술적·영양적 효과를 얻기 위해 의도적으로 사용하는 물질입니다.

 

우리나라 식품위생법에서는 '식품을 제조·가공 또는 보존하는 과정에서 식품에 넣거나 섞는 물질 또는 식품을 적시는 등에 사용되는 물질'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 식품첨가물이 처음 지정된 건 1962년 식품위생법이 제정·공표되면서부터입니다.

 

2016년 기준으로 화학적 합성품 403개 품목과 천연첨가물 196개 품목 등 총 599개 품목이 '식품첨가물의 기준 및 규격' 항목으로 설정·관리되고 있습니다.

 

 

식품첨가물을 제조법에 따라 분류하면 천연첨가물과 화학적 합성첨가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천연첨가물은 천연의 동·식물과 광물을 추출한 후 첨가물로 유효한 성분만 얻어 사용합니다.

 

화학적 합성첨가물은 동물·식물·광물 등의 천연물과 그 추출물을 원료로 화학반응을 일으키거나 화학물질에서 합성해 얻습니다.

 

 

안전하지 않은 식품첨가물  

 

식품첨가물은 필요성과 안전성이 확인이 된 후, 엄격한 기준과 규격에 의해 최소량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식약처의 관리하에 합법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식품첨가물이 위험하다는 것은 오해라고 얘기하지만, 문제는 섭취량과 섭취 횟수에 분명히 영향을 끼친다는 것입니다.

 

식품첨가물의 과잉 섭취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는 분명 존재하기 때문에, 결코 안전하다고 할 수 없습니다. 

 

 

식품첨가물은 안전성을 평가한 후 사용되고 있으나, 일반인을 대상으로 적용되는 안전성이라는 것이 문제입니다.

 

 

노인, 어린이, 특정 식품첨가물에 대해 민감한 경우, 그리고 만성질환이나 자가면역질환 환자의 경우에는 안전량을 섭취했다고 해도 부작용, 독성이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다량으로 식품첨가물을 섭취하면 암, 생식기능 장애, 아토피, 호흡곤란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자가면역질환은 음식에 대한 민감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식품첨가물을 지속적으로 섭취할 경우 부작용이 생길 수 있는 가능성은 상당히 높습니다. 

 

 

주요 식품첨가물의 부작용

 

식품첨가물의 부작용은 노인, 어린이, 환자 등 취약계층에서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증상의 정도도 심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1) 타트라진(tartrazine)

▷용도: 음식과 약물의 염료로 사용 

▷사용 식품: 사탕, 치즈, 핫도그, 아이스크림, 과자, 빙과류 등

▷부작용(과잉 섭취, 민감한 경우)

-구역, 설사

-땀이 남

-가슴이 조이는 느낌의 증상

-아스피린 과민 환자에게 천식을 유발할 수 있음 

 

 

2) BHT(butylhydroxytoluene), BHA(butylated hydroxyanisle)

▷용도: 항산화제로 지방의 산화 예방에 사용 

▷사용 식품: 소시지, 햄

▷부작용

-만성 두드러기 유발 

 

3) 아황산염(sultite)

▷용도: 식품의 신선도 유지 

▷사용 식품: 샐러드, 새우, 버섯, 감자튀김, 말린 과일, 음료수 

▷부작용

-천식에 대한 과민반응을 유발 

 

 

4) 아황산나트륨

▷용도: 식품의 세균발육을 억제, 갈변 방지, 표백 작용

▷사용 식품: 과일주스, 포도주, 잼, 물엿 등 

▷부작용 

-천식, 신경염, 만성기관지염 유발 

 

5) 타르색소 

▷용도: 식품의 색을 내기 위해 사용(합성착색료)

(석탄의 콜타르에서 나오는 벤젠, 톨루엔, 나프탈렌을 재료로 하여 만들어짐)

▷사용 식품: 사탕, 검, 젤리, 초콜릿 등 

▷부작용 

-간독성, 혈소판 감소, 암, 행동과다 등 유발 

 

 

6) 아질산나트륨

▷용도: 식품의 색을 내고, 보존하기 위해 사용(발색제, 보존료)

▷사용 식품: 소시지, 햄류 

▷부작용

-구토, 발한, 호흡곤란 

 

7) 안식향산나트륨 

▷용도: 식품의 오랜 보관을 위해 사용

▷사용 식품: 탄산음료, 비타민 음료

▷부작용

-간경변, 파킨슨병, 눈 점막 자극, 신생아 기형, 피부염 유발 

 

8) L-글루타민산나트륨(MSG)

▷용도: 식품에 존재하는 맛이나 향미를 증진 

▷사용 식품: 조미료, 라면 

▷부작용

-뇌신경 세포를 상하게 함 

-메스꺼움, 두통

-숨 가쁨 

 

 

식품첨가물의 종류

 

1) 풍미 증진 

▷감미료: 식품에 단맛을 부여 

①주요 종류

 -수크랄로스 

 -아스타 팜

 -자일리톨

 -아세설팜칼륨 

②주요 사용 식품: 단무지, 껌 

 

 

▷향미증진제: 식품의 맛이나 풍미를 증진

①주요 종류

 -L-글루타민산나트륨

 -5's-이노신산이나트륨 

②주요 사용 식품: 조미료, 냉동 어묵, 라면, 음료

 

▷산미료 

①주요 종류

 -구연산

 -호박산

 -젖산

 -젖산나트륨

 -푸마르산 

②주요 사용 식품: 음료

 

 

2) 품질유지

▷보존료: 미생물에 의한 변질을 방지하여 식품의 보전기간을 연장 

①주요 종류

 -안식향산나트륨

 -소르빈산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

 -프로피온산 

②주요 사용 식품: 간장, 딸기잼, 소스류

 

 

▷산화방지제

①주요 종류

 -에리쏘르빈산나트륨

 -BHT

 -E.D.T.A

 -BHA

 -TBHQ

 -L-아스코르빈산팔미테이트 

②주요 사용 식품: 소시지, 햄

 

 

3) 영양강화제

①주요 종류: 각종 비타민, 무기질, 아미노산 

②주요 사용 식품: 시리얼, 분유

 

 

4) 기호성 향상

▷착색료

①주요 종류

 -β-카로틴 

 -자주색고구마색소

 -양파색소

 -치자적색소

 -타르색소

②주요 사용 식품: 소스류, 떡, 단무지

 

▷착향료 

①주요 종류

 -바닐라향

 -딸기향 등 과일향 

②주요 사용 식품: 아이스크림, 우유, 음료 

 

▷발색제: 식품의 색소를 유지 또는 강화 

①주요 종류

 -아질산나트륨

 -질산칼륨

 -질산나트륨

②주요 사용 식품: 햄, 소시지, 통조림 식품 

 

 

▷표백제: 식품을 하얗고 밝게 만들거나 변색하지 않도록 보존 

①주요 종류

 -아황산나트륨

 -치아황산나트륨

 -피로아황산칼륨 

②주요 사용 식품: 와인, 말린 과일, 진미채 

 

 

5) 좋은 식감

▷유화제: 물과 기름처럼 본래 섞이지 않는 물질을 균질하게 혼합된 상태로 만들기 위해 사용 

①주요 종류

 -스테아릴젖산칼슘

 -구연산칼슘

 -레시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②주요 사용 식품: 아이스크림, 두유, 마요네즈  

 

▷증점제

①주요 종류

 -구아검

 -젤라틴

 -펙틴

 -알긴산

 -한천 

②주요 사용 식품: 젤리

 

 

▷팽창제: 탄산가스를 발생시켜 부풀리는 역할을 하며 식품의 촉감을 개선하는 데 사용 

①주요 종류

 -탄산염류

 -암모니아염류

②주요 사용 식품: 빵, 비스킷 

 

 

*참고:

1)site_무심코 섭취하는 식품첨가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국민건강지식센터, 건강집현전, 건강정보, 2016

2)site_식품첨가물 바르게 알기, 식품의약품안전처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