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병기 확인을 위해 시행하는 검사
병이 얼마나 진행되었는지 알아야만 그에 따른 치료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간암이 확정되면 앞으로의 예후를 예측하고, 치료를 결정하기 위한 여러 가지 검사를 시행하게 됩니다.
이때 예후를 예측하고 치료를 결정하는 데 간 기능이 많은 영향을 주기 때문에 간 기능 및 간 예비 능력을 확인하기 위한 검사를 같이 시행합니다.
1) 간 외 전이여부 판정을 위해 시행하는 검사
▷폐 CT: 폐 전이 여부 확인
▷뼈 스캔: 뼈 전이 여부 확인
▷PET CT: 간 외 전이 여부 확인
▷기타 상태에 따른 추가 검사
2) 간기능 및 간 예비 능력 확인을 위해 시행하는 주요 검사
▷ICG(Indocyanine Green) 검사
인체에 무해한 염료를 혈관으로 주사하여 채혈하는 검사방법으로 환자의 간 기능이 얼마나 남았는지를 정밀하게 검사합니다. 시약 주입 전 채혈을 한 후 시약을 주입한 반대편 팔에서 시약 주입 후 5분, 10분, 15분 총 4회에 걸쳐 채혈을 합니다.
▷간 섬유화 스캔검사
진동자와 초음파 변환기로 이루어진 탐촉자를 환자의 늑간에 수직으로 위치시킨 후 버튼을 누르면 진동으로 유발된 탄력 파동이 간 조직으로 전달되고, 이를 초음파 변환지가 포착하여 탄력 파동의 속도를 측정함으로써 간 섬유화의 정도를 파악합니다.
3) 간질환에 동반된 합병증 확인을 위해 시행하는 주요 검사
▷내시경 검사
▷기타 상태에 따른 추가 검사
◈ 간암 병기(진행단계)
간암이 다른 암종들과 차이가 나는 점은, 그 원발 장기인 간에 이미 만성 간염이나 간경변증 같은 지병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간의 기능이 저하되어 있을 뿐 아니라, 복수 또는 식도나 위 정맥류(靜脈瘤, 정맥이 혈류 장애로 인해 혹처럼 확장된 상태)의 출혈 등 간경변증의 합병증까지 동반된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암과 별도로 생존에 지장을 주며, 암의 진행에 따라 그 악영향이 더 커지게 마련입니다.
그런 만큼 치료 방침 결정과 예후 판단의 기준이 되는 병기(病期, stage) 즉 병의 진행 단계를 구분할 때, 다른 암종에서처럼 1기에서 4기까지로 나누는 데 그치지 않고 간 기능의 등급을 추가적 요소로 반영합니다.
우선 보편적으로 쓰이는 TNM 병기 분류법에 따라 간암의 개수와 크기, 혈관 침범 여부, 림프절(림프샘) 및 다른 장기로의 전이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1~4(4A, 4B) 병기 중 하나로 구분합니다.
*TNM 분류법: T(tumor) 병기는 종양의 크기와 침윤 정도를, N(node) 병기는 주위 림프절 전이 정도를, 그리고 M(metastasis) 병기는 간이나 복막, 폐 등 다른 장기로의 전이 여부를 나타내며, 이 세 가지를 조합하여 병의 진행 단계를 판정합니다.
병기 |
종양의 크기와 갯수 | 주변 림프절 전이 | 전이 | |
1기 | 종양 1개, 크기 2cm 이하, 혈관침범 없음 | 없음 | 없음 | |
2기 | 종양 1개, 크기 2cm 초과, 혈관침범 없음 종양 여러개, 크기 2cm 이하, 혈관침범 없음 종양 1개, 크기 2cm 이하, 혈관침범 있음 |
없음 | 없음 | |
3기 | 종양 1개, 크기 2cm 초과, 혈관침범 없음 종양 1개, 크기 2cm 초과, 혈관침범 있음 종양 여러개, 크기 2cm 이하, 혈관침범 있음 |
없음 | 없음 | |
4기 | A | 종양 여러개, 크기 2cm 초과, 혈관침범 있음 | 없음 | 없음 |
상관없음 | 있음 | 없음 | ||
B | 상관없음 | 상관없음 | 있음 |
간암은 종양의 상태뿐 아니라 간기능 및 신체 활력도 등급을 포함하여 병기를 구분하기도 합니다.
▷간암의 병기 분류-종양 상태, 신체 활력도 및 간 기능에 따른 병기
병기 | 간기능 및 전신 수행 상태 | 진행 정도 |
0기 | -간기능: Child-Pugh A | -종양이 1개이고, 종양의 크기가 2cm 이하이고 혈관침범이 없는 경우 |
-신체활력도: 0 | ||
A기 | -간기능: Child-Pugh A-B | -종양은 1개인 경우 -종양이 3개 이내이고 가장 큰 종양도 3cm 미만인 경우 |
-신체활력도: 0 | ||
B기 | -간기능: Child-Pugh A-B | -종양은 4개 이상인 경우 -종양이 2~3개이나, 크기가 3cm qhek zms ruddn |
-신체활력도: 0 | ||
C기 | -간기능: Child-Pugh A-B | -혈관침범이 있는 경우 -간 외 전이가 있는 경우 |
-신체활력도: 1-2 | ||
D기 | -간기능: Child-Pugh C | -암 진행 정도는 상관 없음 |
-신체활력도: 3-4 |
[차일드-퓨 등급(Child-Pugh score)]
간 기능을 평가하는 데는 차일드-퓨 등급(Child-Pugh score)이 주로 사용됩니다.
이는 혈액응고인자의 평가 지표인 프로트롬빈 시간(PT, prothrombin time, 프로트롬빈은 혈액의 응고에 관여하는 효소), 혈청 빌리루빈과 알부민 수치, 복수(腹水)의 양, 간성뇌증(肝性腦症, 간 기능 장애가 있는 환자의 의식이 나빠지거나 행동 변화가 생기는 것)의 정도 등 다섯 요소를 종합하여 A, B, C 등급을 매기는 것입니다.
항목 | 1점 | 2점 | 3점 |
알부민 농도(g/dL) | > 3.5 | 2.8 - 3.5 | < 2.8 |
빌리루빈 농도(mg/dL) | < 2.0 | 2.0 - 3.0 | > 3.0 |
프로트롬빈 시간(INR) | < 1.7 | 1.7 - 2.2 | > 2.2 |
복수 | 없음 | 경증 | 중등증 이상 |
혼수 | 없음 | 1-2 등급 | 3-4 등급 |
5가지 항목에 해당하는 점수를 더하면 최소 5점에서 최대 15점이 나옵니다. 합계가 5-6점이면 Child-Pugh A등급, 7-9점이면 Child-Pugh B등급, 10점 이상이면 Child-Pugh C등급이 됩니다.
[신체 활력도 평가 기준]
0 | 무증상 |
1 | 경한 증상, 가벼운 가사나 앉아서 하는 사무 가능, 육체활동 제약은 있으나 보행 가능 |
2 | 보행 및 기본적인 일상생활은 가능하나 간혹 도움이 필요, 하루 중 50% 이하 침상 안정 |
3 | 기본적인 일상생활에 제약이 있으므로 자주 도움이 필요, 하루 중 50% 이상 침상안정 |
4 | 기본적인 일상생활이 안되므로 항상 도움이 필요, 하루 종일 누워 있어야 함 |
의료진은 이러한 결과를 고려하면서 치료 방침을 정하고 예후를 판단하게 됩니다.
*참고:
1)site_간암,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2)site_알기쉬운 간암, 대한간암학회
3) 소책자_간암과 치료를 위한 안내, 삼성서울병원, 환자와 보호자를 위한 안내서, 질환편, 2017, 9~13p
4)소책자_간암 진단 및 치료에 대한 이해, 충남대학교병원, 대전지역암센터, 2019, 8~9p
간암의 치료방법 2_간 이식 (0) | 2022.01.22 |
---|---|
간암의 치료방법 1_간 절제술 (0) | 2022.01.18 |
간암의 검사방법과 진단 (0) | 2022.01.13 |
간암의 증상과 원인(위험인자)은? (0) | 2022.01.11 |
자각 증상이 늦게 나타나는, 간암이란? (0) | 2022.01.08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