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의 점막, 피부 감염은 정상 인구에서 매우 흔하며 대부분의 건강한 사람에서는 큰 문제가 아니나, 자주 재발하는 특성으로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더욱이 면역 저하가 동반되면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비록 바이러스가 감염되면 일생동안 바이러스를 없앨 수는 없으나, 적절한 치료에 의해 바이러스 복제를 억제하여 질병의 경과를 조절하고 재발을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증상이 매우 심하거나 자주 재발을 경험하는 환자에는 적극적인 치료를 해야 하며, 이를 통해 환자의 삶의 질이 향상되고 바이러스의 전파 또한 예방할 수 있습니다.
◈ 원발성 헤르페스 감염증
원발성 헤르페스 감염증은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에 처음으로 감염되어 항체가 없는 사람에서 처음 발생한 경우입니다. 재발성보다 원발성일 때 증상이 더 심하고 합병증이 더 많고 심합니다.
과거 다른 헤르페스 바이러스에 대한 이종성 항체를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헤르페스 감염이 생기면 비원발성 감염으로 분류합니다.
비원발성 성기 단순 헤르페스 감염의 경우 생식기 병변이 보다 국소적이고, 증상이 경하며 보다 짧은 임상경과를 보입니다. 또한 전신 증상을 일으키는 경우가 적으며, 수막염 등과 같은 합병증의 빈도도 드뭅니다.
1) 입술 헤르페스
건강한 성인은 대개 대증요법만으로도 치료가 잘 되지만, 증상이 심하거나 통증이 심해 구강 섭취가 불가능한 소아에서는 항바이러스제의 사용이 권장됩니다.
소아의 경우 증상이 시작된 지 3일 이내에 아사이클로비르(아시클로버) 15mg/kg를 하루 5회 경구로 약 7~10일간 투여함으로써 이환 기간과 감염 가능 시기를 단축함이 소규모 무작위 임상시험에서 확인되었습니다.
성인에서 전신적인 항바이러스제 사용은 아직 임상시험이 이루어진 바 없고, 미국 FDA에서도 승인한 바 없습니다.
그러나 아사이클로비르 200mg 하루 5회 또는 400mg 하루 3회나 발라시클로비르 1000mg 하루 2회 또는 팜시클로비르 250mg 하루 3회(500mg 하루 2회) 경구로 7일간 투여할 수 있습니다.
치료는 항상 조기에 시작할수록 가장 효과적이나 재발을 낮추지는 못합니다. 국내에서는 성인 및 12세 이상 소아에서 크림을 1일 5회 4일간 도포하도록 보험에서 허가하고 있습니다.
2) 생식기(성기) 헤르페스
헤르페스는 특별한 치료법이 없으나 경구 아사이클로비르, 팜시클로비르와 발라시클로비르 같은 항바이러스 제제의 사용은 증상을 경감시키고, 기간을 단축시키며 재발 빈도를 줄이는 등의 효과가 인정되고 있습니다.
치료는 처음 병변이 나타난 지 72시간 안에 항바이러스제의 전신 치료를 시작해야 합니다.
아사이클로비르를 경구, 정맥 내 주사로 투여하면 모두 이환 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새 병변이 생기는 것을 예방하며 동반되는 전신 증상도 호전이 됩니다.
국소 아사이클로비르 제제도 바이러스 흘림(viral shedding: 바이러스가 지속적으로 검출)을 억제할 수 있으나, 그 효과는 전신 제제에 비해 떨어집니다.
그러나 항바이러스제의 치료가 앞으로의 재발의 빈도나 심한 정도를 조절하지는 못합니다. 면역기능이 정상인 사람에서는 경구 투여가 정맥 내 주사에 비해 더 합리적입니다.
아사이클로비르 400mg 하루 3회 7~10일 간 경구 투여 방법은 임상 시험을 한 바 없으며, FDA에서도 승인받지 않았으나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서 권유하는 방법입니다.
반면 아사이클로비르 200mg 하루 5회 또는 발라시클로비르 1,000mg 하루 2회 7~10일간 경구 투여 방법은 소규모 무작위 임상시험으로 효과가 증명되었고 FDA 승인, CDC 권장 요법입니다.
팜시클로비르는 250mg 하루 3회 5~10일간 경구 투여가 권장되나 FDA 승인은 얻지 못했습니다.
국내에서는 성인에서 아사이클로비르 200mg을 4시간마다 하루 5회(깨어있는 시간 동안) 10일 간 경구 투여하거나 심각한 경우에는 5mg/kg를 8시간마다 5~7일간 정맥 내 주사 투여, 발라시클로비르 500mg 하루 2회 5일간 경구 투여, 팜시클로비르 250mg 하루 3회 5일간 경구 투여하는 것이 보험 허가 사항입니다.
이들 약제의 사용과 더불어 진통제, 변비약 등을 동반 증상에 맞게 처치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요 정체 동반 시, 뇌수막 자극 증세가 있는 경우, 극심한 통증을 호소하거나 주위 환경 자체가 치료를 방해하는 경우 등에는 입원치료가 필요합니다.
◈ 재발성 헤르페스 감염증
1) 입술 헤르페스
①간헐적 일시 요법
재발 병변에는 국소 제제나 전신 제제 모두 치료 효과가 확인된 바 있습니다.
펜시클로비르 1% 크림을 깨어있는 동안 2시간마다 바르거나 도코사놀 10% 크림 또는 아사이클로비르 5% 크림을 하루 5회 4일간 바르는 것은 FDA의 승인을 받았습니다.
이 외에도 발라시클로비르 2,000mg 하루 2회 1일만 또는 팜시클로비르 500mg 3정을 한 번에 경구 투여하는 방법이 대규모 임상시험에 의해 효과가 입증되어 FDA의 승인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FDA 승인을 얻지는 못했으나 아사이클로비르 400mg 하루 5회 5일간 경구 투여 또는 팜시클로비르 500mg 하루 2~3회 단 1일만 투여하는 방법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②지속 억제 요법
통증이나 손상이 너무 심해 음식을 섭취하는 데 지장이 있다거나 경과가 오래 지속되는 재발 병변에는 지속적으로 억제 요법을 하는 것이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입술 헤르페스에서는 5~10%의 환자가 연간 6회 이상의 재발을 경험하는데, 이 방법을 적용하는 것은 FDA승인을 얻지는 못했습니다.
아사이클로비르나 발라시클로비르를 4개월간 계속 사용한 후 재발 횟수가 41~60% 정도에서 감소하는 것이 확인된 바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다음 재발까지의 기간도 현저히 증가되었고 , 6개월간 교차 시험에 의해 지속 억제 요법이 간헐적 치료보다 재발 횟수와 통증을 감소시키는 것을 보여 주었습니다.
소아에서는 아직까지 이 치료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 바 없습니다.
2) 생식기(성기) 헤르페스
성기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는 초기감염 후 무증상으로 오랜 기간 동안 신경절에 잠복하며, 면역 저하 상태의 경우에 재활성화되어 신경섬유를 타고, 병변부 피부에서 바이러스의 증식에 의한 수포를 형성합니다.
이와 같은 잠복감염과 재활성화 상태가 감염자에서 평생 동안 반복하여 일어나 성기 단순 헤르페스 감염 증상이 처음 나타난 환자라도 재발성 병변인 경우가 많습니다.
①간헐적 일시 요법
치료가 효과를 보이기 위해서는 병변이 시작하여 1일 이내이거나 전구증상이 있을 때 치료를 시작해야 합니다.
아사이클로비르 200mg을 하루 5회 5~10일간, 발라시클로비르 500mg 하루 2회 3일간, 팜시클로비르 1,000mg 하루 2회 1일간 경구 투여하는 방법은 FDA 승인을 받았습니다.
②지속 억제 요법
가장 중요한 것은 증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사전에 억제하는 것입니다.
주로 헤르페스의 재발 요인들은 잦은 과음, 과로, 스트레스, 외상, 감기, 월경, 과도한 성생활, 타 질환 발병, 스테로이드 장기 복용, 장시간 햇볕에 노출될 때 등입니다.
이런 요인을 멀리 하면서 충분한 휴식과 적당한 운동, 영양소의 고른 섭취 등 기본적인 생활습관의 정립이 필요합니다.
성기 헤르페스 환자 중 연간 6회 이상의 재발이 있는 환자의 70~80%에서 지속 억제 요법이 효과가 있습니다. 물론 재발 횟수가 적은 환자에서도 효과는 있습니다.
아사이클로비르를 최대 6년간, 발라시클로비르나 팜시클로비르는 최대 1년간 사용한 환자에서 안전성과 효과는 잘 확립되어 있고, 이 치료로 인해 간헐적 일시 요법에 비해 삶의 질이 더 향상됨이 증명되었습니다.
그러나 재발 횟수는 시일이 지나면서 점점 줄어들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치료 지속 여부를 환자와 상의해야 합니다.
억제 작용을 효과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약제를 매일 복용해야 하며 최소 3개월을 복용한 후에 효과가 유익할 수 있습니다.
한쪽만 성기 헤르페스의 과거력이 있는 남녀 한 쌍에서 발라시클로비르를 매일 500mg 사용하면 HSV-2의 전파가 감소됨이 확인되었습니다.
FDA에서는 아사이클로비르 400~800mg 하루 2~3회 투여, 발라시클로비르 250mg 또는 팜시클로비르 500mg을 하루 2회 투여하는 것 외에는 모든 방법을 승인하였습니다.
따라서 각 약제의 효과는 서로 비슷하므로 지속 요법을 결정할 때는 복용 방법과 비용을 감안하여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참고:
1)논문_이은소, 단순헤르페스 감염의 약물치료, J Korean Med Assoc 2008; 51(10), 946~947p
2)논문_최혁재, 헤르페스(2), 약학정보원, 팜리뷰, 2018, 4p
3)논문_남종길 외 1인, 성기 단순 헤르페스바이러스 감염 진료지침, 대한요로생식기감염학회지, 제5권, 제1호, 2010, 20~22p
단순 헤르페스 감염증 치료 3_임산부/신생아/HIV 감염 (0) | 2021.05.18 |
---|---|
단순 헤르페스 감염증의 치료방법 2_증상별 치료(피부/ 눈) (0) | 2021.05.17 |
단순 헤르페스 감염증의 치료방법 1_약물 치료 (0) | 2021.05.15 |
단순 헤르페스 감염증의 검사방법과 진단 (0) | 2021.05.14 |
단순 헤르페스 감염증의 증상과 원인 (0) | 2021.05.13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