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치매의 행동심리증상(BPSD) 비약물치료 1_망상/환각/우울증 外

기타 질환

by gaulharu 2020. 10. 20. 17:32

본문

치매의 다양한 행동심리(정신)증상에 대한 치료는 처음에는 비약물학적 접근을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특히, 환자를 돌보는 행위는 치매 환자의 행동에 상당한 영향을 미칩니다. 치매 환자를 돌볼 때는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목표를 가져야 합니다.

 

첫째, 안전하다고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둘째, 편안하다고 느낄 수 있어야 합니다.

 

셋째, 자신이 조절할 수 있다고 느낄 수 있어야 합니다.

 

 

넷째, 가능한 한 스트레스를 적게 느낄 수 있어야 합니다.

 

다섯째, 만족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간병은 편안하게, 융통성 있게, 미소를 짓고 눈을 맞추면서, 간병에 적절한 음성으로 해야 합니다.

 

환자와 논쟁을 하는 것보다는 주의 전환과 방향 전환을 통하여 환자와의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환자를 돌보는 사람은 환자의 감정에 관심을 가져야 하며, 환자가 이치에 맞지 않는 말을 할지라도 긍정적 태도로 답변해 주어야 합니다. 

 

항상 고려해야 할 사항은 겸손과 환자의 프라이버시입니다. 환자를 돌보는 사람은 환자의 감정과 반응에 항상 초점을 맞추어야 하고, 환자로 하여금 안전하고 자신이 멸시당하지 않는다는 느낌이 들도록 해야 합니다.

 

 

다양한 감각 자극을 이용한 프로그램이 치매의 행동심리(정신)증상을 감소시킨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해가 지면 초조해지는 증상이나 저녁에 지남력이 감소하는 증상이 발생하는 환자에게 낮 동안 광선치료(phototherapy)를 하거나 아로마 요법(aroma therapy)을 적용하거나 혹은 신체를 부드럽게 만져 주는 것이 좋습니다.

 

기타 음악요법이나 운동요법이 효과적이라는 보고도 있습니다.

 

 

 망상에 대한 비약물치료

 

▷환자의 주변은 간단하게 정리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의심의 대상이 되는 물건은 가급적 눈에 띄지 않도록 치웁니다.

 

▷환자에게 망상을 일으킬 수 있는 사람과의 접촉은 가급적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집안일을 하는 가사도우미가 자신의 물건을 훔쳐간다고 믿는 환자가 있다면, 가사도우미가 집에 오는 날은 외출을 계획하여 가사도우미와 환자가 마주치지 않도록 배려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망상이 있는 환자를 대할 때는 일관된 태도를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케어자가 이랬다 저랬다 한다면 환자의 의심이 더욱 커지고 믿지 않게 됩니다.

 

 

환자와 관련된 일들은 계획을 세우고 미리 환자에게 알려주어 불필요한 의심을 사전에 예방하도록 합니다.

 

 

▷환자의 망상을 반박하거나 시시비비를 따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환자는 잘못된 믿음을 인정하는 대신 환자가 의심하는 대상과 한패라고 생각할 것입니다. 

 

환자의 기분과 주의를 다른 곳으로 전환하는 것이 좋습니다. 환자가 망상 때문에 초조해하거나 다른 사람과 언쟁을 벌이려고 할 때는 환자가 평소 좋아하는 일을 하도록 권유하거나, 잠시 동안 산책을 함께 하는 것 이 도움이 됩니다.

 

 

환각과 착각에 대한 비약물치료

 

▷과도한 환경적 자극은 환각과 착각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합니다. 

 

▷집안의 조명은 가급적 밝고 온화한 빛을 띄도록 조절합니다. 어두운 조명은 환자의 착각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시끄러운 환경도 환자를 혼동시켜 잘못된 지각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집안에 아이들이 뛰어다니며 시끄럽게 군다면, 환자의 안정을 위해 아이들을 밖에 놀도록 하거나 환자에게 아이들의 소리가 덜 들리도록 하는 방법을 강구하는 것이 좋습니다.

 

 

▷텔레비전의 내용을 현실로 오인하는 경우 환자가 텔레비전을 시청하는 시간을 가급적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환자는 텔레비전에서 주인공이 죽는 장면을 보면서 자신이 아는 사람이 죽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드라마에 도둑이 들었다면 자신의 집에 도둑이 들었으니 큰일이 났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누군가 자신의 행동을 따라 한다고 착각하는 환자는 거울 속의 사람이 따라 하는 행동에 화를 내거나 공격성을 보일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거울을 가리거나 치우는 것이 환자의 흥분을 예방하는 방법입니다.

 

 

▷환각이나 착각은 환자를 당황하게 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환자를 안심시키는 것이 우선입니다. 조용하고 지지적인 태도로 접근하여 환자를 안정시킵니다.

 

“힘드시다는 것을 잘 알아요. 제가 도와드릴까요?”라고 다정하게 질문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환자가 안정되지 않는다면 주의를 전환시켜야 합니다. 예를 들어, 환청으로 괴로워하는 환자와 산책을 시도하면 환자는 장소가 바뀌고 기분이 전환되면 환청이 줄거나 없어질 수 있습니다.

 

 

▷환자가 경험하는 환각을 무시하는 것은 자극할 수 있어 좋은 방법이 아닙니다.

 

케어자가 “아무것도 안 보이는데 도대체 무엇이 보인다는 말이에요?”라고 질책하듯이 말한다면 환자는 기가 죽든지 자신을 무시한다 고 화를 내든지 하는 반응을 보일 것입니다.

 

 

▷간혹 환자의 환각에 정면 대응하는 것이 도움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당신에게는 아이들이 보이지만 저에게는 보이지 않아요. 이것이 당신이 틀렸다는 말은 아니에요. 간혹 그런 일이 있을 수 있으니까요. 몸이 좋지 않을 때도 그럴 수 있어요.”라고 말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반응은 매우 신중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우울증에 대한 비약물치료

 

▷집안 분위기를 밝고 편안한 분위기로 바꾸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치매 환자는 스스로 할 수 있는 일이 점차 줄어들면서 좌절감과 의욕 저하를 느끼게 됩니다.

 

환자가 우울증이 있을 때 집안 환경도 어둡고 침침하다면 환자는 더욱 우울한 느낌을 가질 것입니다.

 

▷환자와 함께 즐길 수 있는 활동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과거에 환자가 좋아하고 잘하던 취미를 함께 하는 것도 좋습니다.

 

예를 들어, 과거 노래 부르기를 좋아하던 환자는 노래를 같이 부르고 여행을 좋아하던 환자는 여행을 같이 가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환자의 즐거웠던 과거를 회상하도록 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과거 행복했던 일들을 회상하게 함으로써 기분을 전환하고 우울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이를 회상요법(reminiscence therapy)라고 합니다. 회상을 위해 사진첩이나 기념품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성적 탈억제에 대한 비약물치료

 

부적절한 성적 행동은 불편한 옷을 입거나, 온도에 걸맞지 않은 옷을 입거나, 가려움증으로 인하여 옷을 벗는 행위를 부적절한 성적 행동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간혹 있을 수 있습니다.

 

▷부적절한 성적 행동에 대한 1차 개입 방법은 방향전환(redirection)입니다.

 

▷기타 비약물학적 개입 방법으로는 남녀를 같이 앉지 않도록 하고, 동성의 간병인을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성기가 노출되지 않도록 뒤에서 묶는 옷을 입히도록 합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호전되지 않을 경우, 약물 치료를 하게 됩니다. 

 

 

*참고:

1)논문_한일우, 치매의 행동심리증상에 대한 치료 전략, 2007 대한임상노인의학회 춘계학술대회, 2007, 86~87p

2)소책자_치매매뉴얼, 보건복지부, 2013, 97~99p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