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회에 대한 비약물치료
▷망상, 환각과 마찬가지로 과도한 환경적 자극은 배회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극이 적고 안정감이 있게 환경을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사를 하거나 방을 바꾸는 것과 같은 급격한 환경의 변화는 배회를 일으키는 주요한 원인이기 때문에 환경의 변화는 최소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환자가 주위 변화를 이해하고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이 남아있다면, 새로운 상황에 대해 서서히 적응하도록 돕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환자가 새로운 집으로 이사를 간다면, 이사하는 계획에 환자를 관여시키고, 이사를 하기 전에 미리 새로운 환경으로 방문을 하도록 합니다.
▷배회하는 환자에게 무조건 배회를 막는 것은 올바른 방법이 아닙니다.
망상으로 인해 배회를 하는 환자를 무조건 막는다면 초조와 불안이 증가할 수 있고, 판단력이 저하된 환자는 화를 내고 공격성을 보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배회를 금지시키기 전에 환자의 정신적 상태를 점검하고 적절한 해결책을 제공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집안에 불이 났다는 생각이 들어 배회하는 것이라면, 사실이 아님을 설명하고 필요하면 집안을 함께 돌아볼 수도 있습니다.
▷자신이 있는 장소를 잊어버려 배회하는 경우에는 현재의 장소를 알려줍니다.
환자가 글씨를 읽을 수 있다면 환자에게 현재 장소를 적은 카드를 만들어 줄 수도 있고, 현재 집안에 있다는 사실을 적어 놓을 수도 있습니다.
▷밤에 여기저기 왔다 갔다 하면서 배회하는 환자는 낮 동안의 활동량이 부족한 경우가 있습니다.
산책이나 운동 통해, 혹은 주간보호시설 등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낮에 활동량을 늘리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배회하는 치매 환자는 넘어질 위험이 많아 조심해야 합니다.
집안 바닥이 미끄럽거나 조명이 어둡거나 가구나 물건이 복잡하게 배치되어 있다면 넘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넘어진 노인은 가벼운 찰과상, 찰과상, 두부 손상 등 여러 가지 신체적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자꾸 집밖으로 나가려는 배회 환자를 집안에 있도록 제재해야 하는 경우는 잠금장치를 사용해야 합니다. 많은 집에서 이중 잠금장치를 비롯한 복잡한 잠금장치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환자는 간단한 잠금 장치를 열 수 있지만, 이중 잠금장치를 열기는 어렵습니다.
또는 방문의 잠금장치를 문의 아주 윗부분이나 아래 부분에 설치하여 가급적 환자의 시야에 보이지 않도록 하기도 합니다.
일부 환자는 창문을 열고 나가는 경우도 있으므로 창문은 완전히 열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현실적으로 환자를 집안에만 둘 수 없으므로 환자가 집밖으로 나가는 경우 집 밖의 위험한 환경을 살펴볼 아야 합니다. 차량 통행이 많은 곳이라면 각별히 조심해야 합니다.
▷배회하는 환자와 같이 외출할 때는 환자를 잃어버리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합니다. 잠시 눈을 뗀 사이에 언제든지 환자는 사라질 수 있습니다.
만약 환자가 글을 읽을 수 있다면 주머니 카드를 만들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작은 주머니에 글씨를 적은 카드를 넣고 혼자 길을 잃게 되면 꺼내서 그대로 하도록 일러둡니다.
카드에는 “움직이지 말고 그 자리에 그대로 있으세요.”라고 적거나“집으로 전화하세요.”라고 쓰고 전화번호를 같이 적어줍니다.
전화를 사용할 수 있다면 핸드폰을 마련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환자가 집을 잃고 헤맨 적이 있다면 만약을 대비하여 최근 사진을 찍어 놓는 것이 좋습니다.
환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팔찌를 차도록 하거나 옷에 이름을 적어 넣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환자는 위험스러운 인물이 아니고 단지 혼란스러운 상태임을 이웃 사람들에게 알리고 도움을 청합니다. 환자가 없어졌다면 경찰서에 빨리 신고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초조와 공격성에 대한 비약물치료
▷치매 환자는 쉽게 흥분하고 공격성을 보일 수 있기 때문에 환자를 놀라게 하거나 혼동스럽게 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환자에게는 천천히 조용하게 접근하는 것이 좋습니다. 초조한 환자와 이야기할 때는 포근하고 점잖은 목소리로 이야기하여 환자에게 안정감을 주어야 합니다.
▷초조한 환자에게 친밀감을 표현하기 위해 손으로 두드려주거나 안아주는 행동이 위안이 될 때도 있지만, 때론 자극할 수 있습니다.
행동을 하기에 앞서 환자에게 자신이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해 이야기해서 그들이 놀라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앉아있거나 누워있는 환자의 위로 서있는 것은 환자가 위협적으로 느껴 분노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항상 환자의 눈과 높이를 맞추도록 합니다.
▷환자가 초조해 하는 동안에는 따지거나 설득하려 하지 말아야 합니다.
환자는 논쟁 중에 쉽게 흥분하고 초조가 증폭될 수 있습니다. 만약 환자가 흥분하는 것이 관찰된다면 관심과 주의를 다른 곳으로 돌리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초조와 공격성을 보이는 환자를 돌볼 때는 위급한 상황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에 대한 계획을 가지는 것 이 좋습니다.
환자가 배우자와 가족을 알아볼 수 없는 상태이거나 피해망상이 동반되는 경우는 더욱 조심해야 합니다.
위험한 상황에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청할 수 있는 전화번호나 비상벨을 설치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설마 내 남편이 나를 어떻게 하려고..”라는 생각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 수면장애에 대한 비약물치료
▷환자가 밤에 잠을 이루지 못하면 먼저 수면 위생 조절을 시도합니다. 먼저 술이나 담배를 줄이거나 끊고 커피와 같은 카페인이 들어있는 음료도 피합니다.
규칙적인 수면습관을 유지하며 특히 아침 기상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합니다. 침실의 온도와 소음을 적절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잠자리의 배치가 편안해야 합니다. 방은 너무 덥지도 춥지도 않아야 하고, 침구는 편안해야 합니다.
잠자리에 들기 직전까지 텔레비전을 시청하거나 돌아다니는 것은 잠드는 것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배가 너무 고파도 잠을 못 이룰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배부르게 먹어서는 안 되고, 간단한 군것질 거리를 주는 것이 좋습니다.
저녁시간에 따듯한 물로 샤워나 목욕을 하는 것도 잠드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낮잠을 자거나 초저녁 시간에 잠을 자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 밤에 잠을 이룰 수 없습니다. 따라서 밤 시간 외에는 잠을 자는 것을 막도록 합니다.
잠을 자지는 않더라도 잠자리에 하루 종일 누워있는 환자는 역시 밤잠을 잘 수 없습니다. 잠자리에 누워있지 않도록 격려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낮 동안의 활동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수면문제를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낮 동안에 집에 있는 환자들은 주간보호센터에 가는 것도 좋습니다.
오후에 오래 걷기와 같은 규칙적인 활동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치매 환자가 밤에 자다가 깨어나면 잠시 장소를 잊어버릴 수 있습니다. 이때는 환자를 안정시키고 다시 잠에 들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환자가 소변이 마려워 깬 경우 화장실을 안전하게 다녀올 수 있도록 도와줄 필요가 있습니다. 침실과 화장실에는 야간조명을 켜 두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또한 다른 방에서의 야간조명도 야간에 환자가 스스로 방향을 잡는데 항상 도움이 될 것입니다. 반사테이프를 화장실 문 주위에 붙여두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실내 변기를 침대 옆에 두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안전하게 화장실을 다녀오도록 직접 안내를 해야 할 필요도 있습니다.
▷치매 환자가 밤에 깨어 혼돈스러운 상태에서 집안을 돌아다닐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안전사고가 나지 않도록 집안을 점검해야 합니다.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가구를 배치하고, 창문을 잠급니다.
환자가 보호자들이 잠든 사이에 난로를 뒤집어 놓거나 불을 낼 가능성이 없는지, 현관문을 열고 바깥으로 나갈 가능성은 없는지, 화장실에 가려고 하다가 계단에서 떨어질 가능성은 없는지에 대해서 점검해야 합니다.
*참고:
1)소책자_치매매뉴얼, 보건복지부, 2013, 99~101p
치매의 행동심리증상(BPSD) 약물치료 2_항정신병제/AChE 억제제 外 (0) | 2020.10.21 |
---|---|
치매의 행동심리증상(BPSD) 약물치료 1_치료원칙 (0) | 2020.10.21 |
치매의 행동심리증상(BPSD) 비약물치료 1_망상/환각/우울증 外 (0) | 2020.10.20 |
치매의 행동심리증상(BPSD)에 대한 치료 원칙 (0) | 2020.10.20 |
치매의 대표적인 행동심리증상(BPSD) 2_무감동/배회/초조/공격성 外 (0) | 2020.10.20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