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의 관리 방법 2_재활치료

기타 질환

by gaulharu 2020. 10. 16. 16:29

본문

파킨슨병의 재활 치료는 직접적인 중추신경계의 병변 자체를 교정할 수는 없으나, 환자의 기능을 돕거나 유지하고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일반적으로 관절 운동 범위, 지구력, 균형 유지, 보행 능력, 일상생활 동작의 수행, 서행증이나 강직 등 운동 기능의 장애에 대해서는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연하 장애나 언어 장애에 대한 집중적인 재활치료도 어느 정도의 효과가 있습니다.

 

*연하 장애: 연하란, 음식물을 입에 넣어 삼키는 과정을 말하며, 연하 장애란 이 과정에 장애가 생기는 것으로, 음식물을 삼키기 어려운 증상을 뜻합니다. 

 

 

그러나 치료 중에는 효과를 보이다가 치료를 중단하면 다시 악화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지속적인 재활치료가 중요합니다.

 

파킨슨병 초기의 환자에서는 장애가 나타나지 않으나 질병이 진행함에 따라 환자는 굳어지고 운동성이 떨어지며, 관절 운동 범위의 감소와 관절 구축 및 근육의 위축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장애는 강직(rigidity), 서행증(bradykinesia), 진전(tremor) 및 자세 반사(postural reflex)의 소실 등과 같은 신경계 기능 이상의 직접적인 결과로 초래됩니다. 

 

그러나, 물리치료 및 운동치료 프로그램을 통하여 최소화할 수 있고 여러 가지 보상방법을 훈련시켜서 환자의 후유증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강직 감소 및 유연성 증진

 

몸통 근육 및 사지 근육을 이완시키는 것이 환자의 유연성의 증가와 강직의 감소를 위하여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 매우 작은 범위의 관절 범위 운동으로 시작하여 천천히 리듬에 맞춘 회전운동을 시행합니다.

 

회전운동은 파킨슨병 초기에 소실되므로 보통 수동적 회전운동으로부터 시작하여 점차 능동적 회전운동으로 진행해야 합니다. 

 

대개 엎드리거나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 자가 이완 운동을 시행하며 점차 앉은 자세와 선 자세에서 자가 이완 운동을 합니다.

 

 

목부터 허리까지 각 척추의 회전 운동과 신전운동을 시행하여 꾸부정한 자세를 교정하도록 하며, 자전거 운동 및 도르래 운동을 이용한 교차운동을 시행하여 팔과 다리의 운동성을 유지합니다.

 

 

진전(tremor)/서행증(bradykinesia)/저행동증(hypokinesia)

 

파킨슨병에서 관찰되는 진전(떨림증)은 휴식 시(resting)의 진전이므로, 환자가 움직일 때에는 대개 감소하며, 환자가 불안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으면 심해지므로 이완 훈련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진전은 다른 증상에 비해 기능 장애를 덜 일으키기는 하지만, 심한 경우에는 기능에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서행증과 저행동증, 강직 등은 신전근(extensor muscle)보다는 굴곡(flexor muscle)을 더 많이 침범하며, 관절 운동과 신장 운동(stretching exercise)을 매일 하는 것이 유연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합니다.

 

운동 치료를 할 때에는 구체적인 운동을 하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보행 및 자세의 재활 치료

 

전형적인 파킨슨병 환자들은 몸통을 구부정하게 구부린 자세를 취하며, 보행을 시작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고, 일단 보행을 시작하면 방향을 바꾸거나, 장애물을 피하거나, 정지하기가 어렵습니다.

 

보행 중에는 상지의 움직임이나 몸통 및 골반의 움직임이 감소되어 있고, 자세 반응에도 장애를 보이므로 신체의 중심이 조금만 흔들려도 쉽게 넘어지게 됩니다.

 

 

환자는 보행 시 팔을 크게 흔들고 보폭을 넓게 해 주어야 하며, 의식적으로 보행을 시작하고 걸음걸이를 유지하려는 노력이 도움이 될 때가 많습니다.

 

보행하기 전에 미리 보행에 대하여 생각을 하거나 큰 소리로 숫자를 세거나 노래를 부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음악 연주에 쓰이는 메트로놈 등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자극을 주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보행시 박스나 장애물을 사용하여 발을 높이 들어 걷는 훈련도 도움이 됩니다.

 

 

보행을 안정시키기 위하여 지팡이가 도움이 될 수도 있으나 적절히 사용하지 못하면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전문의의 처방이 필요합니다.

 

증상이 심한 경우 바퀴 달린 보행기가 좋지만 보행 중 정지하는 능력이 감소되어 있으므로 보호자의 관찰이 필요합니다.

 

 

보행기의 높이는 높여 주는 것이 구부정한 자세의 진행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언어 장애 및 연하 장애

 

파킨슨병의 언어 장애는 말을 시작하기 힘들어하고, 목소리가 작고 발음이 불분명하며, 억양이 단조롭고, 말을 더듬거나 말이 빨라지면서 목소리가 점점 약해지는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

 

1) 언어 장애

저행동성(hypokinetic) 구음장애(dysarthria)로서 호흡 조절의 실패, 안면과 인후두 근육의 강직, 감각과 운동의 통합 기능 장애가 원인이므로 호흡 조절, 발음 및 발성 훈련 등이 도움이 됩니다.

 

▷목소리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훈련방법

①우선 자세에 주의하도록 합니다.
몸이 바로 펴지고, 고개가 바로 들린 상태여야 발음에 필요한 호흡을 충분히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②말할 때의 호흡에 유의 합니다.
충분히 코로 숨을 들이마시고서 내쉬기 시작할 때 발음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③코로 깊이 숨쉬는 방법을 여러 번 연습합니다.
횡경막의 움직임에 신경쓰면서 복식호흡을 하도록 하고, 입을 다물고서 코로 천천히 내쉬도록 합니다.

 

④심호흡을 합니다.
내쉴 때’아’나’이’ 같은 모음을 내면서 15초에서 20초 가량 지속하여 소리를 내도록 해 봅니다.

 

 

⑤숨을 내쉬면서 한번에 한 단어나 한 마디씩 말해봅니다.

 

⑥말꼬리가 줄어들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말하도록 합니다.

말꼬리가 줄어들 경우에는 숨을 새로 쉬도록 합니다. 숨을 잘 쉬지 않으면 큰 목소리를 낼 수 없습니다.

 

 

▷발음속도를 균일하고 천천히 하는 훈련

손가락으로 책상,의자 또는 자신의 다리를 일정한 박자로 치면서 짦은 문장을 발음합니다. 이때 한번에 한 어절이나 한 단어씩 발음합니다.

 

 

▷발음을 명확히 하는 운동방법

①입술과 혀의 유연성과 힘을 연습합니다.

 

②혀의 힘을 기르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혀를 길게 내밀었다가 집어 넣습니다.
-혀를 길게 내밀어서 좌우로 움직여봅니다.
-같은 운동을 입안에서 양 볼에 대고 반복합니다.
-입을 벌리고, 혀끝을 위 앞니 끝에 대어봅니다.
-혀끝을 입천장에 대고서 입천장을 따라 앞뒤로 움직여봅니다.
-입술을 따라 혀를 움직여 봅니다.
-위와 같은 운동을 거울을 보면서 5내지 10회 반복 연습합니다.

 

 

③말하기 전에 입에 남아있는 침을 삼킵니다.

 

④모든 발음을 명확하고 분명하게 합니다. 소리를 강조하여 말하도록 합니다.

 

⑤한 단어부터 연습하도록 하고, 그 다음엔 두 세 어절씩, 짧은 구나 문장으로 연습해 갑니다.

 

⑥ㅂ, ㅍ, ㅁ과 같은 발음을 할 때는 입술이 서로 잘 붙는지 신경을 쓰도록 합니다.

 

⑦ㄱ, ㅋ, ㄷ, ㅌ과 같은 발음을 할 때는 힘을 주어 내는 기분으로 발음합니다.

 

⑧단어와 단어 사이에는 잠시 뜸을 두어 문장 내내 목소리의 크기가 유지되도록 합니다.

 

⑨말할 때 되도록 짧은 문장을 사용하여 간단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합니다.

 

 

▷발음속도를 균일하고 천천히 하는 훈련

손가락으로 책상,의자 또는 자신의 다리를 일정한 박자로 치면서 짦은 문장을 발음합니다.

 

이때 한번에 한 어절이나 한 단어씩 발음합니다.

 

놀란 표정 짓기, 얼굴 찡그리기, 볼 부풀려 불기, 웃기, 눈 주위에 주름 만들기와 같은 안면근육 운동과 혀를 내밀거나 좌우로 이동시키는 운동이 도움이 됩니다.

 

 

2) 연하 장애

연하 장애는 질병 말기에 나타나며, 이로 인한 흡인성 폐렴은 파킨슨병 환자의 주요한 합병증이자 사망 원인이기도 합니다.

 

▷음식을 쉽고 안전하게 먹는 방법

①음식물을 먹고 마실 때나 약을 먹을 때 똑바로 앉은 자세에서 먹도록 합니다.

 

②삼킬 때 약간 앞으로 숙이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③음식을 한입에 조금만 넣고서 충분히 씹고, 입에 있는 음식물을 완전히 삼킨 후에 다음 음식을 먹습니다.

 

④물을 마실 때에도 한입에 조금만 넣고서, 잠깐의 준비시간을 두고 삼키도록 합니다.

 

⑤한번 삼켜도 잘 넘어가지 않을 경우에는 두 번째 삼키는 과정을 통해 완전히 삼키도록 합니다. 종종 소량의 물과 함께 삼키면 잘 넘어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⑥음식을 먹는 것이 매우 힘들어지면, 하루에 세끼를 먹는 것보다는 조금씩 여러 번에 걸쳐 나누어 먹는 것이 좋습니다.

 

사래가 자주 들리고 삼키기가 어려운 경우나 폐렴의 병력이 있을 경우 비디오 투시 연하 검사를 시행하여 연하장애의 유무 및 정도를 평가하고 치료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자율 신경계 기능이상

 

질병이 진행됨에 따라 자율신경계 기능이상이 나타나 기립성 저혈압, 배뇨장애, 위장관 운동 저하, 발기부전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립성 저혈압에 대해서는 서서히 일어나거나, 침대의 머리 부분을 높여 주거나, 압력 스타킹 등을 사용하여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위장관 운동의 저하로 쉽게 포만감을 느끼고 변비가 생길 수 있으며, 심하면 구토를 하거나 약물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음식물을 소량씩 자주 먹거나 섬유질의 섭취를 증가시키고, 대변 완화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배뇨장애로 인하여 요실금, 배뇨곤란, 요저류, 요로 감염 등이 나타날 수 있어 잔뇨 검사, 신장 기능 검사, 요로 역동 검사 등을 통하여 치료 계획을 수립해야하며, 소변줄을 이용한 지속적 도뇨는 가급적 피해야 합니다.

 

*도뇨: 요도 도관을 방광에 삽입하여 소변을 뽑아내는 것으로, 요도가 손상되거나 방광이나 요도를 수술했을 때 실시합니다. 

 

 

*참고:

1)site_파킨슨병, 서울대학교병원, 파킨슨센터, 질환설명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