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킨슨병의 비운동 증상은 비교적 흔하지만 보통 의사들의 관심을 끌지 못하여 제대로 치료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흔합니다.
파킨슨병의 증상 중 운동기능과 관련되지 않은 증상들은 크게 자율신경계 이상, 감각기능 장애, 정신기능 이상, 수면장애 등으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 자율신경계 이상
▷배뇨장애 및 변비
자율신경계 이상 중에서 가장 흔히 경험하는 증상은 배뇨증상입니다.
소변이 방광에 가득 차 있어도 소변이 잘 안 나오거나, 방광에 소변이 없어도 자꾸 소변이 보고 싶은 증상, 소변이 갑자기 나오려고 하는 요급, 소변을 자꾸 실수하는 요실금 등의 다양한 배뇨장애가 관찰됩니다.
한 가지 주의해야 할 점은 파킨슨병이 잘 생기는 노년층에서는 이러한 배뇨장애를 일으키는 다른 병(대표적으로 전립선 비대증)들이 잘 생긴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이런 증상이 나타날 경우, 진료의사에게 증상을 자세히 설명하여 적절한 검사와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변비도 환자들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증상으로 완화제나 식이요법 등으로 치료해야 합니다.
▷성기능 이상
병원에서 파킨슨병 환자들이 성기능 이상을 호소하는 경우는 그리 많지 않습니다.
이는 실제로 성기능 이상이 드물기 때문이 아니고, 한국적인 정서상 진료의사에게 알리기를 꺼리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체위성 저혈압
체위성 저혈압이란 가만히 앉아 있거나 누워 있다가 갑자기 일어서게 되면 몸 안의 혈액이 갑자기 하지로 쏠리게 되어 혈압이 강하되는 것을 말합니다.
물론 정상인의 경우는 자율신경에 의해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발생하지 않지만, 파킨슨병에서는 자율신경의 이상으로 인해 체위성 저혈압이 흔히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핑 도는 듯한’ 어지러움을 느끼거나 심하면 실신에까지 이를 수 있습니다.
◈ 감각이상
파킨슨병은 말초신경에는 특별한 이상을 일으키지 않지만, 환자들은 여러 가지 감각 증상을 호소합니다.
파킨슨병 환자들이 경험하게 되는 감각이상 증상으로 흔한 것은 저린 느낌과 통증입니다.
주로 팔다리, 허리, 목 근육에서의 통증을 호소하게 되는데, 이러한 부위의 통증은 파킨슨병의 운동증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적절한 약물치료로 운동장애 증상이 호전되면 통증도 같이 감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외에도 주로 다리에서 불쾌하게 뜨겁거나 찬 기분, 근육의 시린 느낌, 화끈거리는 느낌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다리에 뜨겁게 타는 듯한 느낌이나 벌레가 피부 위로 기어가는 듯한 이상감각증상, 심한 피부 간지럼증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주로 밤에 나타나 환자의 수면을 방해하는 요인이 됩니다.
이런 감각이상 증상은 어떤 단계의 파킨슨병에서도 다 나타날 수 있으며, 투여 약물과 무관하게 나타납니다.
일반적인 진통제로는 효과가 없고, 파킨슨병 약물의 투여로써 같이 좋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 정신기능 이상
인지 기능의 장애나 정신 증상의 경우는 비교적 흔하며, 운동 증상만큼이나 치료를 어렵게 만들고 장애를 초래합니다.
▷인지 기능의 장애
지능 평가에서 동작성 지능과 언어성 지능의 해리현상(verbal-performance dissociation)이 나타나며 주의 전환(attention shift) 능력의 장애가 주로 나타납니다.
기억력의 장애에서는 독특한 특징을 보이는데 언어나 시각적 기억력 검사에서 자유회상을 할 경우에 장애가 현저하게 나타나지만, 말로서 힌트를 줄 경우 높은 회상률을 보이는 특징을 보입니다.
이와 같은 현상은 기억을 저장하고 유지하는 데는 이상이 없으나, 인출해내는데 장애가 있어서 나타난다고 생각합니다.
이와 같은 인지 기능의 장애와 치매는 연령이 많고 우울증상이 동반된 경우에서 더 많이 발생합니다.
▷치매
파킨슨병에서는 일반적으로 치매라고 할 만한 심한 정신기능장애도 드물게 나타납니다. 파킨슨 환자에서의 치매의 유병률은 보고에 따라 다르지만 20∼30% 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대략 10%의 환자에서 심한 정신기능 장애가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징적으로 “피질하 치매(subcortical dementia)”를 보이는데 사고의 흐름이 느려지고, 수행 능력의 장애와 공간 지각력의 장애가 잘 나타납니다.
비교적 언어 기능은 건재하여 언어 상실증(aphasia)은 드문 것이 특징입니다.
▷정서적 장애
정서적 장애는 흔히 관찰됩니다.
우울한 기분을 느끼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병에 대한 환자의 정상적인 반응으로도 나타날 수도 있고, 뇌 안에서 유지되던 신경전달 물질들의 균형이 깨지는 생물학적인 요인으로도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우울증과 비슷한 가벼운 일에 대해서도 늘 걱정하고 불안해하는 불안증도 자주 나타날 수 있습니다.
우울증은 파킨슨병 환자의 30∼60% 정도에서 나타나며, 운동 증상에서 나타나는 동작의 느려짐과 얼굴 표정이 줄어들거나 없어지는 것과 구별하기가 힘듭니다.
감정의 불쾌감, 염세적인 생각, 슬픈 감정과 동반되어 흥분성을 주로 보이며, 자책감, 실패감, 죄의식과 같은 감정은 흔하지 않습니다.
생물학적인 요인으로 발생하는 우울증은 일반적인 파킨슨병 치료약으로 호전될 수 있고,약간의 항우울제를 추가하면 더욱 좋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환각이나 망상 등 정신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증상은 파킨슨병 자체에 의해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파킨슨병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에 의해서도 나타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사용하는 약물에 대한 점검이 필요합니다.
대표적으로 항콜린성 약물이나 도파민수용체 효현제(dopamine receptor agonist), 레보도파 모두 정신 증상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조절이 필요합니다.
◈ 수면장애
파킨슨병 자체의 증상으로 몸을 가누기가 힘들게 되면 이로 인한 불편함으로 잠들기가 어렵게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환자에게 실제로 문제가 많이 되는 경우는 잠을 자다가 자꾸 깨는 경우입니다.
또한 수면 중에 소리를 지르거나 몸을 심하게 움직여 주변 사람이 놀라기도 하고 또 수면에 방해를 받는 일이 자주 있습니다.
파킨슨병에서 비교적 특징적으로 관찰되는 것은 다리에 이상감각을 느끼거나 주기적인 다리의 이상운동으로 인해 잠을 깨는 경우입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이 증상에 대한 별도의 치료가 필요합니다. 그 외에 배뇨장애, 감각장애, 우울증 등도 수면을 방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참고:
1)site_파킨슨병, 서울대학교병원, 파킨슨센터, 질환설명
2)논문_고성범, 파킨슨병의 진단과 치료, 가정의학회지, Vol.24, No.12, 2003, 1060~1062p
파킨슨병의 조기 진단 1_운동 증상 전단계 증상(후각 소실) (0) | 2020.10.14 |
---|---|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의 검사방법과 진단 (0) | 2020.10.14 |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의 주요 증상 1_운동 증상 (0) | 2020.10.13 |
떨림과 강직이 나타나는,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이란? (0) | 2020.10.13 |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한, 만성 콩팥병의 예방과 관리방법 2 (0) | 2020.10.07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