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묘소병(Cat scratch disease, 묘조증, 고양이 할큄병)
고양이 등의 가축에 의해 긁히거나 물린 후 발생한 임파선 종대로 이하선(귀밑샘, 귀 밑에 위치하여 입안으로 소화액을 분비하는 침샘)이나 악하선(턱밑샘) 주변 피부나 임파선에서 발생합니다.
중요한 원인균으로 바르토넬라 헨셀라에(Bartonella henselae)라는 박테리아가 있습니다.
벼룩의 배설물 및 벼룩에게 물려 감염된 고양이나 가축 등이 사람을 할퀴거나 물거나 사람의 상처를 핥는 것으로 사람에게 감염이 되는 질환입니다.
이 박테리아는 고양이에게는 별다른 해를 끼치지 않으며, 건강한 사람에게는 별로 위험한 병은 아닙니다.
하지만, 항암치료를 받거나 면역기능이 떨어져 있는 사람에게는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증상
묘소증은 고양이 등과 같은 동물과 접촉 후 3~14일의 잠복기를 가집니다. 잠복기가 지나면 다친 곳이 욱신거리고 아프며 이 통증은 오랫동안 지속이 됩니다.
다친 자리에서 가까운 곳의 임파선으로 감염이 옮아가서 하나의 임파선에 붉은색의 부종이 시작되고, 경우에 따라서 여러 개의 임파선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팔에 상처가 있으면 겨드랑이의 임파선이 2~3㎝이상 붓고 아플 수 있습니다.
임파선염은 3~4주 이상 지속되는 경우도 있고, 약 30%에서 동통과 피부 발적을 동반하기도 하며, 열이 발생할 수 있으나 전신적인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눈에 감염이 되었다면 눈꺼풀이나 결막이 붓고 충혈되며 아프기도 합니다. 또 어떤 경우에는 간과 비장에 심하면 뼈나 관절에 감염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바르토넬라 헨셀라에가 몸 전체적으로 퍼져나가면 뇌, 심장, 뼈, 안구 등에 감염을 일으켜 뇌염, 심장내막염 등의 심각한 합병증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심할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검사방법
고양이에 물리거나 할퀸 적이 있고, 임파선이 부은 것을 보고 진단을 바로 내릴 수 있으며, 몇 가지 혈액검사를 통해 진단을 내릴 수도 있습니다.
조직 검사가 필요한 경우는 드물고, 와신-스타리 은염색법(Warthin-Starry silver stain)에 의해 조직에서 원인균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Warthin-Starry silver stain (와신-스타리 은염색법):
조직화학염색법 중 하나로 pH 4.0의 은용액에서 조직을 도은한 후 환원제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을 사용하여 은을 금속성 은(흑색)으로 환원시켜 호은성 반응(argyrophilic reaction)을 이용한 염색 방법입니다.
여기서 호은성이란 은이온을 잘 흡착하는 특성을 말합니다.
▷치료방법
대부분의 경우에는 특별한 치료 없이도 잘 낫습니다. 2~4개월 후에 자연적으로 치유되나 면역이 떨어진 환자에서는 전신적인 염증으로 파급되어 위험해질 수 있습니다.
2~3개월 이상 계속되는 임파선염으로 고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항생제를 복용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오랫동안 열이 나거나 뼈, 간, 비장 등에 염증이 퍼져 있다면 항생제를 복용해야 합니다.
만약 임파선이 아주 크게 부었고 통증이 있다면, 부은 부분에 주삿바늘 또는 절개를 통해 고름을 빼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항생제 치료는 묘소병의 경과에 영향이 없다는 주장이 있었으나, 여러 박테리아 감염에 효과가 있는 항생제 리팜피신(rifampin), 복합 항균제 트리메소프림-설파메톡사졸(trimethoprim-sulfamethoxazole), 항생제 시프로플록사신(ciprofloxacin) 등은 병의 경과를 단축시킨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예방방법
고양이를 가까이하지 않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이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습니다. 정기적으로 고양이의 발톱을 깎아주어 긁히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그리고 고양이를 만지고 난 뒤에는 항상 손을 씻는 것이 좋습니다. 고양이에게 벼룩이 생기지 않도록 관리해 주어야 감염이 퍼지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나이 든 고양이보다 새끼 고양이에게 이 병을 일으키는 균이 더 많아서 이런 병을 더 잘 옮기는 것으로 밝혀져 있으므로 새끼 고양이를 키울 때 더욱 주의를 요합니다.
벼룩이 있다면 30배나 더 감염을 잘 일으키므로 고양이벼룩은 철저히 없애야 합니다. 그러나 고양이는 치료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 세균이 고양이에게는 병을 일으키지 않습니다. 단지 세균을 가지고 있다가 사람에게 옮기는 역할을 할 뿐입니다.
고양이에게 할퀴거나 물렸을 때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으면 의사의 상담을 받아야 한다.
①3~4일 내에 긁히거나 물린 상처가 좋아지지 않을 때
②긁히거나 물린 후 2일이 지나면서 다친 부분이 더 붉어지고 커지면서 아플 때
③다친 후 2~3일 이상 열이 지속될 때
④2~3주 이상 임파선이 붓고 아플 때
⑤뼈나 관절이 아프거나 구토나 설사가 없는 복통이 생기거나, 이유 없이 피로감이 심한 증상이 2~3주 이상 계속될 때
◈ 톡소프라스마병(톡소플라즈마증, 톡소포자충증, Toxoplasmosis)
톡소포자충(톡소플라스마 곤디, Toxoplasmosa gondii)이라는 기생충에 의한 감염성 질환으로, 감염된 고양이 및 고양잇과에 속하는 동물의 배설물과 접촉하였거나 감염된 고기를 섭취하였을 경우 감염됩니다.
감염된 고양이의 배설물에 직접 접촉하거나 배설물에 오염된 흙을 통해 전파될 수 있습니다.
고양이의 깔개를 교체한 후 더러운 손으로 입을 만지거나, 완전히 익히지 않은 돼지고기, 양고기, 사슴고기를 먹었을 때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톡소플라스마 균에 오염된 혈액을 수혈받거나 이에 감염된 사람에게 장기를 이식받았을 때 체내로 들어올 수 있습니다.
▷증상
감염이 된 경우에도 50~90%에서는 증상이 없으나 경부 임파선염, 인두통, 근육통, 기면, 열 등의 증상을 보일 수도 있습니다.
건강한 사람의 경우에는 임파선이 붓는 경우가 제일 많습니다. 임파선염은 대개 한 개의 임파선이 커지고 수개월 동안 크기가 커지거나 작아지는 것을 반복할 수 있습니다.
자연 치유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에서는 증상이 심하고 여러 가지 장기를 침범할 수 있습니다.
임신부가 감염되면 수직 전파될 확률이 50% 전후로, 태아에게 전염되어 사산, 유산, 감염아를 출산할 수 있고 선천성 기형도 생길 수 있습니다.
태아에게 감염되면 뇌수종, 소뇌증, 경련 질환, 정신지체, 사시, 백내장, 녹내장, 망막염, 청력상실, 폐렴, 심근염, 간장비장종대 등등의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태아에게 선천성 톡소플라스마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검사방법
톡소플라스마증은 야외에 사는 고양이에 노출된 적이 있는지, 완전히 익히지 않은 고기를 자주 먹었는지 확인하여 진단할 수 있습니다.
확진을 위해 톡소플라스마 기생충에 대한 항체가 있는지 알아보는 혈액 검사를 시행합니다. 건강한 사람들의 90%는 증상이 없기 때문에 과거의 감염 사실을 기억하지 못합니다.
급성으로 감염되었다면 혈액, 체액, 감염 조직 샘플에서 톡소플라스마 기생충을 찾아냄으로써 진단할 수 있습니다.
뇌 침범이 의심되면 뇌 CT, MRI 촬영을 시행합니다.
선천성 톡소플라스마증은 출생 전에 초음파나 양수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출생 후에는 눈 검사, 신경학적 검사, 뇌 CT 촬영, 요추 천자로 얻은 뇌척수액 분석 등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치료방법
톡소플라스마증은 대부분 별다른 치료를 하지 않아도 호전됩니다. 그러나 증상이 심하면 항말라리아제, 항생제로 치료합니다.
면역력이 저하되면 포낭의 활성화를 억제하기 위해 평생 약을 복용해야 합니다.
건강한 사람은 톡소플라스마 기생충이 온몸으로 퍼지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다만 일부 기생충이 뇌나 망막에 오랜 기간 잠복해 있을 수 있습니다.
에이즈 환자, 암 환자, 면역 억제 약물로 인해 면역 체계가 약화된 사람이 톡소플라스마에 감염되면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심한 뇌염을 일으켜 경련이나 다른 신경학적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치료하지 않으면 뇌염으로 인해 사망할 수도 있습니다.
선천성 톡소플라스마증은 대부분 약물로 완치할 수 있습니다.
출생 당시 심하게 감염되었던 소아도 조기에 진단 및 치료하면 심한 후유증을 피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진단과 치료가 지체되면 예후가 좋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참고:
1)논문_이병주, 경부 림프절염, J Clinical Otolaryngol, 2006;17, 27~28p
2)site_민혜영, 인간에게 치명적인 고양이 할큄병?, 동아사이언스, 2016
3)site_톡소플라즈마증,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의료정보, 질환백과
4)site_애완동물 바로 알고 키웁시다!, 한림대학교성심병원, 건강정보, 건강백과사전, 2004
경부 임파선염의 종류와 치료방법 4_기쿠치병(조직구 괴사성 임파선염) (0) | 2021.03.19 |
---|---|
경부 임파선염의 종류와 치료방법 3_기타 감염성 임파선염(2) (0) | 2021.03.18 |
경부 임파선염의 종류와 치료방법 2_결핵성 임파선염 (0) | 2021.03.16 |
경부 임파선염의 종류와 치료방법 1_반응성 임파선염 (0) | 2021.03.15 |
임파선염(림프절염)의 검사방법 2_혈액/영상/조직검사 (0) | 2021.03.14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