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림프모구 백혈병은 혈액 내의 림프구에서 유래하는 악성 질환입니다.
림프구는 T림프구와 B림프구 두 종류가 있는데, 항체라고 불리는 물질을 만들어 내면서 외부의 침입 물질이 들어오면 이를 물리쳐서 우리 몸을 지켜 주는 역할을 합니다.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의 경우에는 완전히 성숙하지 못한 림프구가 너무 많아져 이런 방어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게 됩니다.
미성숙한 림프구가 많아지면 골수에서 정상적으로 만들어지는 다른 세포들을 만들 때 방해가 됩니다.
혈액 세포 중 적혈구가 잘 만들어지지 않으면 빈혈이 되고 혈소판이 잘 만들어지지 않으면 쉽게 출혈이 되고 멍들게 되며 백혈구가 만들어지지 않으면 쉽게 감염이 될 수 있는 상황이 됩니다.
소아기의 백혈병 중 림프구성 백혈병이 60~70%를 차지합니다.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은 모든 소아암의 1/3정도 되며, 백인의 경우 2,880명당 한 명 꼴로, 4세 무렵에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Bloom 증후군, 다운 증후군이나 일부 선천성 면역 결핍 질환에서 많이 발생하며, 일부 B세포 백혈병에서는 Ebstein-Barr virus(엡스타인-바 바이러스)가 발병에 관여합니다.
또한, 형제 중에 같은 백혈병이 있으면 발생 빈도가 증가합니다.
◈ 소아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의 증상
림프구는 T림프구와 B림프구 두 종류가 있는데, 항체라고 불리는 물질을 만들어 내면서 외부의 침입 물질이 들어오면 이를 물리쳐서 우리 몸을 지켜 주는 역할을 합니다.
급성 림프모구 백혈병의 경우에는 완전히 성숙하지 못한 림프구가 너무 많아져 이런 방어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게 됩니다.
미성숙한 림프구가 많아지면 골수에서 정상적으로 만들어지는 다른 세포들을 만들 때 방해가 됩니다.
혈액 세포중 적혈구가 잘 만들어지지 않으면 빈혈이 되고, 혈소판이 잘 만들어지지 않으면 쉽게 출혈이 되고 멍들게 되며, 백혈구가 만들어지지 않으면 쉽게 감염이 될 수 있는 상황이 됩니다.
◈ 소아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의 원인
대부분은 암 발생의 원인을 모르며 유전적 소인, 바이러스 감염, 방사선 조사, 화학 약품 등에 대한 직업성 노출, 그리고 항암제 등의 치료 약제가 원인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원인들로 인하여 암유전자가 직접 또는 인접 부위 유전자들의 변화에 따라 활성화되면 백혈병이 발생하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유전적 소인
21번 염색체의 상염색체를 특징으로 하는 다운증후군, 클라인펠터 증후군, 파타우 증후군, 판코니 증후군, 블룸 증후군, 혈관확장성 운동실조증, 쌍생아와 형제 등 급성 백혈병 환자 가족에게서 병이 발생하는 것도 유전적 소인이 급성 백혈병의 발생 원인에 관여할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클라인펠터 증후군: 큰 키와 작은 외부 생식기가 특징인 남성에게서 발생하는 염색체 이상으로, 이러한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한 개의 X 염색체 대신 두 개의 X 염색체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특징적인 외모를 갖게 되고 남성 호르몬 테스토스테론이 부족하게 생산됩니다.
▷방사선 조사
원자폭탄이 투하되었던 지역에서의 급성 백혈병의 발생 빈도가 10~15배가량 높게 나타났습니다. (일본 히로시마 원폭 피해, 러시아 체르노빌 원전 사고의 예)
강직성 척수염 치료를 위하여 방사선 조사를 받았던 환자들에서도 백혈병 발생률이 5배가량 증가했습니다.
▷화학 약품과 그 밖의 직업성 노출
벤젠은 유전자 손상을 불러와 백혈병으로 진전될 수 있습니다.
페인트, 방부제, 담배, 제초제, 살충제, 전자장 노출이 백혈병 발병률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항암제 등 치료 약제
항암제, 특히 알킬화제들은 염색체 손상을 일으켜 2차성 백혈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 멜팔란, 부설판, 프로카바진, 에토포사이드, 독소루비신 등이 해당됩니다.
▷바이러스
EBV(엡스타인-바 바이러스)나 HTLV-1(인간 T-세포 림프 친화성 바이러스 1형)같은 바이러스 감염은 골수세포 내의 염색체에 손상을 주고 면역 체계의 이상을 초래하여 백혈병을 일으킵니다.
◈ 소아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의 진단방법
처음에는 간단한 혈액 검사를 통해서 백혈병이라는 것을 알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혈액 검사
병원에서는 소아가 백혈병이 의심되는 증상이 있으면 우선 간단한 혈액 검사를 하며 여기에서 빈혈, 혈소판 감소 및 미성숙 림프구의 증가 등 이상 소견이 발견됩니다.
물론 미성숙 림프구가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이상 소견이 발견되면 골수 검사를 하게 됩니다.
▷골수 검사
골수 검사는 단단한 뼈를 통해 그 안에 있는 스펀지 같은 조직 내에 들어 있는 세포들을 꺼내어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소아의 골반 앞쪽 장골능 부위에 소독과 국소마취를 하고, 작은 바늘로 찔러 뼈 부위에 집어넣습니다. 여기에서 적은 양의 골수를 얻으면 현미경으로 백혈병 세포의 형태를 관찰합니다.
골수에서 얻은 백혈병 세포를 통해 유전적인 정보와 면역적인 표현 상태를 알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의 종류를 좀 더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여러 가지 표식자를 확인하여 추가적인 분류를 통해 병의 경과를 예측하고, 치료방침을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매우 중요한 검사이며, 각각의 표식자에 따라 치료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뇌척수액 검사
골수 검사를 통해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이 확인되면 척수액 검사를 하게 됩니다.
척수액 검사는 등 쪽으로 바늘을 넣어 뇌와 척수를 감싸고 있는 뇌척수액을 조금 빼서 하는 검사입니다.
현미경을 통해 뇌척수액에 백혈병 세포가 있는지를 봅니다.
여기에서 미성숙 림프구가 발견되면 백혈병 세포(미성숙 림프구)가 중추신경계까지 침범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며, 치료와 예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기타 검사
그밖에도 병의 진행 정도에 따라 증가할 수 있는 지표들을 혈액 검사를 통하여 알아볼 수 있으며 염색체 검사, 요 검사, 열이 나는 경우 배양 검사 등을 할 수 있습니다.
◈ 소아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의 예후 인자
소아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은 예후인자라고 불리는 위험도에 따라 그 치료 지침을 정하고 있으며 재발의 가능성이 적은 표준 위험군에는 독성이 적은 치료지침을 사용하여 합병증과 치료의 후유증을 줄입니다.
고위험군에는 보다 강력하고 집중적인 치료나 실험적인 방법까지도 동원하여 치료의 성공을 높이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소아의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에는 다양한 예후인자가 알려져 있으며 이 중 일부는 위험도 구분에 이용되어 치료 지침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중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예후인자는 진단 시의 연령과 백혈구 수로서 표준 위험군은 진단 시 연령이 1세~9세 사이와 진단 시 백혈구 수가 50,000/uL 미만인 경우이며, 그 외의 환자는 고위험군입니다.
연구자에 따라서는 DNA 지수가 1.16 이상(과이배수체)이거나 염색체 4번, 10번, 17번의 삼배체(정상인은 2개인데, 이 경우는 3개)는 예후가 좋다고 보고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T세포 기원의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은 독립적인 고위험군으로 분류하는 추세입니다. t(9;22) 혹은 t(4;11)의 염색체 전좌가 있거나 염색체 수가 44개 미만인 환자들은 최고 위험군으로 분류되기도 합니다.
▷소아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의 예후 불량 인자
①연령: 1세 미만, 10세 이상
②백혈구 수: 50,000/uL 이상
③T세포 백혈병
④염색체 수: 44 미만
⑤염색체 전좌: t(9;22), t(4;11)
*염색체 전좌: 한 염색체의 일부가 떨어져 다른 염색체로 옮겨져 붙는 현상으로 여러 가지 유전병의 원인이 됩니다.
*참고:
1)site_급성림프모구백혈병(소아), 서울대학교암병원, 암정보교육, 암종별의학정보
2)소책자_소아백혈병의 치료, 한국백혈병어린이재단, 2017, 10~12p
3)site_클라인펠터 증후군, 서울대학교병원, 건강정보, 의학백과사전
소아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의 치료방법 2_공고/지연 강화/관해 유지 요법 (0) | 2020.12.28 |
---|---|
소아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의 치료방법 1_관해 유도 요법 (0) | 2020.12.27 |
잦은 빈혈과 멍이 생기는, 소아 백혈병이란? (0) | 2020.12.26 |
백혈병 환자의 자가관리방법 (0) | 2020.12.26 |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의 치료방법 3_조혈모세포 이식/예후 (0) | 2020.12.26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