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식이요법을 통한 신장 결석의 예방법

기타 질환

by gaulharu 2022. 7. 23. 23:47

본문

신장 결석의 발생에 있어 위험인자로는 유전적, 지리적, 직업적, 해부학적 원인 등이 있으며 식습관 역시 중요한 인자입니다.

 

식이는 신장 결석의 형성과 성장에 영향을 주므로, 식이조절을 통해 결석 발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칼슘석의 예방법

 

1) 다량의 수분 섭취

모든 신장 결석 환자들은 하루 최소 2.0~2.5L의 소변량을 목표로, 또는 2.5~3L의 수분 섭취를 해야 합니다.

 

정확한 양을 측정하기 어렵다면 소변을 볼 때 그 색깔이 무색에 가깝도록 묽은 소변을 보도록 충분하게 물을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짙은 소변은 농축된 소변으로 충분히 수분을 섭취하지 않았음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음료로는 대개 저당류, 저칼로리, 무알코올음료가 추천됩니다.

 

커피와 차는 옥살산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 결석 형성을 증가시킨다고 하지만, 다량의 커피와 차는 결석 형성을 낮추는 효과가 있기도 합니다.

 

알코올은 결석 발생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맥주와 와인은 결석 발생의 위험을 줄였다는 연구가 있었으며 설탕이 첨가된 음료들은 결석 발생의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구연산(시트르산)은 결석 형성을 억제하는데, 소변 내 구연산 농도가 낮은 경우에도 결석이 잘 생깁니다.

 

 

구연산은 레몬이나 오렌지 등 신맛 나는 과일에 많이 들어있으므로,  다양한 감귤류 주스들의 복용이 추천됩니다.

 

특히 오렌지주스는 요 중 구연산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키고 이 성분이 결석의 생성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레모네이드와 라임주스는 연구에 따라 논란이 있습니다.

 

 

2) 염분 섭취 제한 및 정상칼슘 섭취

저염식을 했을 때 고칼슘뇨증 결석 환자에서 칼슘뇨를 줄일 수 있었습니다. 정상 칼슘 식이는 장내에서 옥살산과 결합하여 옥살산의 소변 배출을 낮춤으로써 결석 예방에 효과가 있습니다.

 

저칼슘 식이(400mg/day)와 정상 칼슘 식이(1,200mg/day)의 결석 재발률을 비교한 연구에서 정상 칼슘 식이군에서의 결석 재발률이 저칼슘 식이군보다 51% 낮았습니다.

 

칼슘보충제는 결석 환자에게 일반적으로 추천되지 않습니다.

 

칼슘석 환자가 칼슘보충제를 복용해야 한다면 24시간 요중결석관련 위험인자 검사를 시행해서 요 중 칼슘 농도가 증가하면 칼슘보충제를 중단하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칼슘보충제를 식이와 함께 복용하는 것이 고칼슘뇨증의 증가 위험이 없다는 연구도 있습니다.

 

칼슘이 풍부한 음식물을 섭취하면 이 칼슘이 우리 몸의 장에서 결석을 만드는 옥살산(수산)과 결합하여 대변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신장 결석의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칼슘이 풍부한 음식물을 섭취하면 이 칼슘이 우리 몸의 장에서 결석을 만드는 수산과 결합하여 대변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신장 결석의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비타민D는 고칼슘뇨증이나 결석 재발의 관련성에 대해 논란이 있습니다.

 

만약 비타민D 결핍증이 있는 옥살산칼슘석 환자에서 비타민D 보충이 필요하다면, 고칼슘뇨증에 대해 주기적인 모니터링을 해야 합니다.

 

 

3) 옥살산 섭취 제한

칼슘 결석을 유발하는 가장 흔한 음식물은 칼슘과 결합하여 결석을 생성하는 옥살산(수산)이 풍부한 음식들입니다. 이러한 음식물을 되도록 피해야 신장 결석에 걸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고옥살산뇨증은 유전적 원인인 1차성 고옥살산뇨증 외에, 옥살산의 장내 흡수를 조절하는 성분의 섭취 부족, 고옥살산 성분의 과다 섭취 등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칼슘석 환자들은 옥살산이 풍부한 음식 섭취를 제한해야 합니다.

 

많은 양의 옥살산이 포함되어 있는 음식으로는 고구마, 대황, 케일, 시금치, 대황, 감자, 초콜릿, 땅콩, 캐슈넛, 아몬드, 참깨 씨, 콩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음식물은 일반적으로 건강에 좋은 것으로 알려졌지만 신장 결석을 가진 가족이 있거나 본인이 신장 결석을 앓은 적이 있다면 잘 고려하여 섭취해야 합니다. 

 

고용량의 비타민C는 요 중 옥살산 배설을 증가시켜 결석 생성의 위험을 증가시키므로 매일 1000mg를 초과하는 비타민C 복용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4) 과일과 채소 섭취의 권장 및 동물성 단백질(비유제품)의 제한

칼륨이 풍부한 식품, 특히 과일과 채소 섭취는 칼슘석 형성을 억제하는 요 중 구연산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동물성 단백질의 섭취 증가는 결석 발생 증가와 관계가 있지만 식물성 단백질 섭취는 결석 발생 증가와 관련이 없습니다.

 

동물성 단백질 섭취와 관련하여 유제품인지 아니면 비유제품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동물성 단백질(비유제품, 유제품 모두) 섭취가 많을수록 요 중 칼슘 배출량이 증가할 수 있으나, 비유제품 동물성 단백질 섭취는 요 중 구연산을 낮춥니다.

 

특히 육류는 소변 내 칼슘, 수산, 요산을 증가시키고, 구연산의 생성을 억제하므로 과도한 육류 섭취를 자제해야 합니다.

 

반면, 유제품 단백질의 섭취는 요 중 구연산 배설은 증가시키고 요 중 옥살산 배설은 낮춥니다. 따라서 동물성 단백질을 과다 섭취해서는 안되며 체중 1kg당 0.8~1.0g으로 제한해야 합니다.

 

 

 요산석

 

1) 수분 섭취와 요 알칼리화

요산 결정의 형성과 성장은 산성화된 소변에서 일어납니다. 따라서, 수분 섭취와 요 알칼리화가 요산석 예방의 주요 방법입니다.

 

요산석 예방을 위해 요 알칼리화는 6.0 이상의 요 pH를 목표로 하고, 식이 조절이나 약물로 달성할 수 있습니다.

 

이에 요산석을 예방하기 위해 하루 2.5-3L의 수분 섭취가 추천되고, 오렌지 또는 레모네이드 주스는 요 알칼리화 및 소변량 증가에 도움이 됩니다.

 

 

2) 비유제품 동물성 단백질의 섭취 제한

채식을 더 많이 하고 동물성 단백질 섭취를 줄이면 요 pH가 증가하고 요산 배설을 줄일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과일과 채소는 신장 알칼리 부하를 주고, 육류, 어류, 해산물, 가금류, 치즈, 달걀, 곡물은 모두 신장 산 부하를 주는 반면, 우유와 요구르트는 산 중성입니다.

 

 

요산은 퓨린 대사의 최종 산물로, 고요산뇨증 환자는 퓨린 함량이 많은 음식을 제한해야 합니다.

 

퓨린 함량이 많은 음식에는 멸치, 정어리, 청어, 고등어, 가리비, 홍합, 동물 내장, 조개류, 양고기, 소고기, 돼지고기, 가금류 등이 있습니다.

 

 

 시스틴석

 

1) 수분 섭취

시스틴석 환자에게 충분한 수분 섭취는 매우 중요합니다. 낮은 요 중 시스틴 농도를 유지하기 위해 하루에 최소 4~5L의 수분을 섭취해야 합니다.

 

하루 중 고르게 분배하여 수분을 섭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2) 염분 및 동물성 단백질 섭취 제한

염분 섭취량이 낮을수록 요 중 시스틴 농도가 감소하므로 염분 제한을 해야 합니다. 동물성 식품에는 시스틴과 메티오닌(시스틴으로 대사)이 풍부하므로 동물성 단백질 섭취를 제한해야 합니다.

 

그러나 메티오닌은 성장에 필수적인 아미노산이므로 성장기 아이들에게는 메티오닌 섭취 제한에 주의해야 합니다. 

 

 

*참고:

1)site_신장결석,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건강정보, 2021

2)논문_정해도 외 1인, 요로결석의 예방과 관리, 대한의사협회지, 2020, 63(11): 687~689p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