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010)
    • 자가면역질환 (198)
    • 류마티스관절염 (108)
    • 기타 질환 (640)
    • 식단 관리 (63)

검색 레이어

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말초신경병진단방법

  • 말초신경병(Peripheral neuropathy)의 검사방법과 진단 2

    2020.10.01 by gaulharu

  • 말초신경병(Peripheral neuropathy)의 검사방법과 진단 1

    2020.09.30 by gaulharu

말초신경병(Peripheral neuropathy)의 검사방법과 진단 2

◈ 근전도 검사 근전도 검사는 신경과 근육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를 통해 분석해 말초신경이나 신경 주변 및 근육의 이상이 있는지 보기 위한 검사입니다. 근전도 검사에는 바늘로 근육을 찔러 시행하는 근육 내 침근전도 검사와 피부에 전극을 붙여 검사하는 표면 근전도 검사가 있습니다. ▷검사 절차 ①의료진의 진료와 신경학적 진찰을 통해 검사할 근육들을 선별합니다. ②근육에 삽입되는 침(바늘)의 종류 및 표면 전위 사용 여부를 결정합니다. ③환자에게 환자복 또는 편한 복장으로 갈아 입히고 난 후에, 근육을 최대한 이완시킬 수 있는 자세를 취하게 합니다. ④검사 부위를 알코올 솜으로 소독하고 난 후에, 침(바늘)을 서서히 삽입합니다. ⑤침(바늘)을 삽입한 후에, 해당 근육을 단계별로 수축시킵니다. ⑥침(..

류마티스관절염 2020. 10. 1. 02:40

말초신경병(Peripheral neuropathy)의 검사방법과 진단 1

말초신경병을 진단하는 처음 단계는 해부학-병리학적 침범 양상의 파악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목표는 신경근, 신경총, 개개의 말초신경, 그리고 신경절의 병증인가 하는 점과 말초신경에서 굵은 섬유와 가는 섬유 혹은 둘 다 침범한 병변의 양상인지를 알아야 합니다. 또한, 신경원과 축삭, 그리고 기능적으로 운동, 감각, 자율신경의 어느 쪽을 침범하는 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실제적인 검사를 통해 객관적인 증거를 찾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이는 해부-병리적인 질환의 양상을 파악하기 위한 검사를 주로 하게 됩니다. 아래의 검사들을 통하여 말초에서 나타난 신경계의 손상의 크기와 질 그리고 병인을 파악합니다. ◈ 병력청취 환자의 병력청취는 말초신경병을 감별하기 위한 첫 단계이자 가장 중요한 단계입니..

류마티스관절염 2020. 9. 30. 22:30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반응형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