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010)
    • 자가면역질환 (198)
    • 류마티스관절염 (108)
    • 기타 질환 (640)
    • 식단 관리 (63)

검색 레이어

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가면고혈압

  • 고혈압의 검사방법 2_가정혈압/활동혈압 측정

    2020.11.08 by gaulharu

  • 고혈압의 검사방법 1_진료실혈압 측정

    2020.11.07 by gaulharu

고혈압의 검사방법 2_가정혈압/활동혈압 측정

◈ 가정혈압 측정 진료실 밖 (out-of-offce)의 혈압은 가정혈압 또는 활동혈압 모니터링으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요즘은 진료실 밖의 혈압을 편리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진동법 전자혈압계가 널리 이용되고 있습니다. 가정혈압은 진료실혈압 보다 고혈압 환자의 심뇌혈관 질환 발생을 예측하는데 더 유용하고, 의료 경제적 측면에서 유용성이 높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가정혈압 측정은 고혈압의 진단뿐만 아니라 관리에 있어 그 역할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가정혈압은 표준화된 방법으로 측정하여야 하므로 반드시 환자에게 정확한 측정 방법을 교육해야 합니다. 손가락혈압계는 부정확할 수 있으므로 위팔혈압계를 사용해야 합니다. 손목혈압계는 비만으로 위팔혈압계를 사용하기 어려울 때 도움이 되나 팔목의 위치..

기타 질환 2020. 11. 8. 14:20

고혈압의 검사방법 1_진료실혈압 측정

고혈압의 진단, 치료, 예후 평가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정확한 혈압 측정입니다. 혈압은 측정 환경, 측정 부위, 임상 상황에 따라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여러 번 측정해야 하며, 표준적인 방법으로 측정해야 합니다. 40세 이상, 비만, 고혈압 가족력, 고혈압 전단계인 경우는 매년 진료실 혈압을 측정하여 고혈압 발생 여부를 점검해야 합니다. ◈ 진료실혈압 측정 진료실에서 청진기를 사용하여 혈압을 측정하는 청진법이 현재 표준적인 측정 방법입니다. 진료실혈압 측정에 사용하는 혈압계는 수은주혈압계, 보정된 아네로이드 혈압계, 정확성이 검증된 전자혈압계가 있습니다. 전자혈압계는 종류별로 청진법 또는 진동법 기기가 있으며, 수은의 유해성 문제로 수은주혈압계는 2020년 이후 생산 및 유통이 금지됐습니다. ..

기타 질환 2020. 11. 7. 23:11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반응형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