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010)
    • 자가면역질환 (198)
    • 류마티스관절염 (108)
    • 기타 질환 (640)
    • 식단 관리 (63)

검색 레이어

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요시험지봉검사

  • 소변 검사 2_요시험지봉을 이용한 화학적 검사(2)

    2020.09.02 by gaulharu

  • 소변 검사 2_요시험지봉을 이용한 화학적 검사(1)

    2020.09.01 by gaulharu

소변 검사 2_요시험지봉을 이용한 화학적 검사(2)

◈ 검사항목 1) 단백(Protein) 정상적으로 소변으로 배출되는 단백은 알부민, 글로불린, 신장의 네프론에서 배출되는 단백으로 구성됩니다. 24시간 소변에서 단백이 150mg/dL 혹은 임의뇨에서 10~20mg/dL이 넘는 경우를 단백뇨라고 부릅니다. 단백뇨는 남녀 발생 비율에 차이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남자가 여자에 비해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요시험지봉 단백 검사 결과 1+의 경우 해당되는 단백량은 약 30mg/dL, 2+의 경우 100mg/dL, 3+의 경우 300mg/dL, 4+의 경우 1000mg/dL 정도 됩니다. 요시험지봉 검사의 측정치 한계보다 낮은 양의 알부민이 배출되는 경우를 미세알부민뇨(microalbuminuria) 라고 합니다. 미세알부민뇨의 기준은 30~3..

류마티스관절염 2020. 9. 2. 00:50

소변 검사 2_요시험지봉을 이용한 화학적 검사(1)

◈ 요시험지봉을 이용한 화학적 검사 요시험지봉은 크기가 약 10 X 0.5cm의 매우 얇은 플라스틱 지지체에 각 검사 항목별로 시약이 함유된 화학적 반응부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요시험지봉을 제조하는 회사별로 검사 항목 종류나 화학적 반응부의 배열 순서는 다를 수 있습니다. 보통 검사 항목으로는 pH(산도), 잠혈, 단백, 당, 케톤, 아질산염, 백혈구(에스테르분해효소), 빌리루빈, 우로빌리노겐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을 동시에 검사할 수 있습니다. 요시험지봉을 이용한 소변검사는 조작이 간편하고 용이하기 때문에 병원 등의 각종 의료기관, 집단검진의 선별검사로 널리 이용되고 있습니다. ▷검사방법 소변은 원칙적으로 신선한 소변을 사용해야 합니다. 검사 직전에 소변 검체 용기를 잘 흔들어 섞은 다음, 요시험..

류마티스관절염 2020. 9. 1. 20:40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반응형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