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010)
    • 자가면역질환 (198)
    • 류마티스관절염 (108)
    • 기타 질환 (640)
    • 식단 관리 (63)

검색 레이어

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역류성식도염_검사방법

  • 위식도 역류 질환의 검사방법 2_PPI/식도 내압/임피던스 검사

    2021.03.03 by gaulharu

  • 위식도 역류 질환의 검사방법 1_위장관 내시경/24시간 식도 pH검사

    2021.03.02 by gaulharu

위식도 역류 질환의 검사방법 2_PPI/식도 내압/임피던스 검사

◈ PPI(프로톤 펌프 억제제, Proton pump inhibitor) 검사 PPI(양성자 펌프 억제제) 검사는 고용량의 PPI를 시험적으로 투여한 뒤 역류 증상이 좋아지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전형적 증상이 있는 환자에서 동반된 비전형적 증상 치료를 위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전형적 증상이 없는 환자에서는 프로톤 펌프 억제제(PPI) 투여 전에 반드시 식도 산도 검사를 시행할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전형적 증상이 없는 환자는 프로톤 펌프 억제제 시험 투여의 효과가 낮을뿐더러 산역류가 아닌 다른 원인에 의한 증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PPI 시험 투여는 식도산도 검사를 시행할 수 없는 경우에 유용할 수 있으며, 2012년 국내 지침에서는 PPI 시험 투여는 위식도 역류 질환의 진..

기타 질환 2021. 3. 3. 00:10

위식도 역류 질환의 검사방법 1_위장관 내시경/24시간 식도 pH검사

위식도 역류 질환의 진단을 위해서는 증상에 대한 분석,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 24시간 식도 pH 검사, 식도 내압 검사, 위산분비 억제제를 투여하고 증상의 변화를 관찰하는 PPI 검사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위식도 역류 질환 진단 검사에는 한 가지 검사로 환자를 진단하고 평가할 수 있는 표준화된 검사는 없습니다. 현재 위식도 역류 질환 진단에 내시경 검사와 24시간 식도 pH 검사가 가장 중요한 검사로 인정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내시경 검사의 경우 높은 특이도를 가지고 있음에 반해 50% 미만의 낮은 민감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한, 24시간 식도 pH 검사에도 환자의 불편감, 증상과의 연관성 이외에 인과 관계를 증명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PPI를 투여하고 증상의 변화를 관찰..

기타 질환 2021. 3. 2. 00:18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반응형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