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010)
    • 자가면역질환 (198)
    • 류마티스관절염 (108)
    • 기타 질환 (640)
    • 식단 관리 (63)
홈태그방명록
  • 자가면역질환 198
  • 류마티스관절염 108
  • 기타 질환 640
  • 식단 관리 63

검색 레이어

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신사구체여과율

  • 신사구체여과율(eGFR) 수치 높이기

    2020.04.24 by gaulharu

  • 사구체여과율(GFR)로 알 수 있는 신장(콩팥) 기능 상태

    2020.04.20 by gaulharu

신사구체여과율(eGFR) 수치 높이기

신장 기능을 가장 정확하게 알 수 있는 방법이 신장 안에서 혈액 속 노폐물을 걸러주는 사구체의 여과 기능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1분당 혈액 몇 리터를 걸러내는지를 보는 것으로, 정상 수치는 90~120 mL/min/1.73㎡ 정도입니다. 사실, 질환을 가지고 있지 않다면 신사구체여과율에 대해 크게 신경 쓰실 일은 없습니다. 하지만 질환을 앓고 있고, 특히 자가면역질환처럼 면역을 억제해야 하는 약을 장기간 복용하게 되면, 신체 장기의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오늘은 제 얘기를 하려고 합니다. 재작년 10월 쯤부터 류마티스관절염 증상이 있었지만, 그저 단순한 관절염 정도로 치부했었다가 작년 2월에 확진을 받았습니다. 혈청음성 류마티스관절염입니다. 검사에서 모두 음성인데, 증상은 류마티스관절염의 특징을 ..

식단 관리 2020. 4. 24. 02:10

사구체여과율(GFR)로 알 수 있는 신장(콩팥) 기능 상태

자가면역질환 환자가 정기적으로 받는 검사에 꼭 빠지지 않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사구체여과율입니다. 앓고 있는 질환과 복용하고 있는 약물에 의해 신장이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신장의 기능상태를 알 수 있는 사구체여과율과 신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신장은 복부의 뒤쪽, 척추의 양 옆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모양은 콩처럼, 색깔은 팥처럼 생겼다고 해서 콩팥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대략 어른의 주먹 크기(길이 11~12cm, 넓이 약 5cm, 두께 약 3cm) 정도로, 약 100만 개의 네프론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네프론은 사구체와 세뇨관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사구체는 작은 모세혈관이 뭉쳐있는 것을 말하며 노폐물을 걸러주는 역할을 합니다. 사구체에서 걸러진 수분과 노폐물은 세뇨관을 통과하면서 필요..

자가면역질환 2020. 4. 20. 14:36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반응형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