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010)
    • 자가면역질환 (198)
    • 류마티스관절염 (108)
    • 기타 질환 (640)
    • 식단 관리 (63)

검색 레이어

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스테로이드부작용

  • 척-스트라우스 증후군(CSS)의 치료방법 1_스테로이드/면역억제제

    2020.09.25 by gaulharu

  • 비만으로 생각하기 쉬운, 쿠싱증후군의 증상과 원인

    2020.09.14 by gaulharu

  • 궤양성 대장염의 치료방법 2_스테로이드/면역억제제

    2020.08.03 by gaulharu

  • 류마티스관절염 치료방법 3_당질코르티코이드제(스테로이드)

    2020.03.27 by gaulharu

척-스트라우스 증후군(CSS)의 치료방법 1_스테로이드/면역억제제

◈ 척-스트라우스 증후군의 임상 양상 척-스트라우스 증후군 (Churg-Strauss syndrome, CSS)의 임상 양상은 크게 세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제1단계는 성인에서 발병되는 천식으로써, 이중 약 79%는 스테로이드 치료가 필요합니다. 이 시기에 알레르기성 비염, 부비동염, 비 폴립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제2단계는 호흡기계와 소화기계 내에 호산구 침착이 나타납니다. 이로 인해 호산구성 폐렴 및 호산구성 위장염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개 이 시기에 말초 혈액 상 호산구 비율이 약 10% 이상 증가할 수 있습니다. ▷제3단계는 전신적인 혈관염이 발생합니다. 이중 약 50~70%의 환자에서는 말초신경계 증상이 나타나기도 하며, 다발 혹은 단일 신경병증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또한..

자가면역질환 2020. 9. 25. 12:42

비만으로 생각하기 쉬운, 쿠싱증후군의 증상과 원인

코티솔의 과잉은 우리 몸의 여러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단백질의 분해가 증가하고 지방 이동이 촉진되므로 피부 및 모세혈관을 구성하는 콜라겐과 근육을 구성하는 단백질이 분해되고 체내 지방의 재분포가 일어나게 됩니다. 그 외에 인슐린 저항성을 증가시켜 혈당이 상승하고 성호르몬 분비가 억제되며, 칼슘 흡수가 억제되고 뼈를 만드는 조골세포의 생존을 단축시키게 됩니다. 뿐만 아니라 면역세포의 활성이 억제되어 감염에 취약한 상태가 되며, 과도한 코티솔은 혈압을 유지하는 염류코르티코이드의 작용과 함께 혈관을 수축시켜 혈압을 상승시키게 됩니다. ◈ 쿠싱증후군(Cushing's syndrome)의 증상 쿠싱증후군의 증상은 수주에서 수개월에 걸쳐 서서히 나타나는데, 다음과 같은 증상을 보이는 경우 쿠싱증후군을 의..

기타 질환 2020. 9. 14. 21:07

궤양성 대장염의 치료방법 2_스테로이드/면역억제제

◈ 스테로이드 제제 스테로이드 제제는 강력한 항염증 작용으로 치료에 효과적입니다. 스테로이드 제제가 사용되면서 중증 궤양성 대장염 환자의 사망률이 급격히 감소하였고, 현재도 스테로이드는 5-ASA제제에 반응하지 않는 활동성 궤양성 대장염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스테로이드 제제는 장기적 관해 유지에는 효능이 없으므로 일단 임상적인 관해 유도에 성공하면 용량을 단계적으로 줄여나가면서 관해 유지 단계에 들어갈 경우 스테로이드를 중단해야 합니다. Beclomethasone dipropionate(BDP, 다이프로피온산베클로메타손)는 위산 저항성이 있는 Eudragit-L100/55으로 코팅되어 있어 pH 6 미만에서 용해되고 소장 원위부와 대장에서 방출되어 전신적 영향이 최소화된 주로 국소적 ..

자가면역질환 2020. 8. 3. 23:18

류마티스관절염 치료방법 3_당질코르티코이드제(스테로이드)

당질코르티코이드제는 과거에 많이 사용된 류마티스관절염 약입니다. 당질코르티코이드 (Glucocorticoid)는 부신피질호르몬의 일종입니다. 부신피질 호르몬은 부신(신장 바로 위쪽에 위치해 있는 내분비기관)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지방 및 단백질의 대사, 면역반응 조절, 염증반응 조절, 염분과 수분 평형 조절을 담당합니다. 이 부신피질 호르몬은 당의 형태를 바꾸어 간에 저장하는데 관여하는 당질코르티코이드와 신장에서 나트륨 재흡수에 관여하는 무기질코르티코이드로 구분됩니다. 이 부신피질 호르몬을 약으로 만든 것이 부신피질 호르몬제입니다. 부신피질 호르몬제라고 할 때에는 당질코르티코이드만을 일컬으며 일반적으로 스테로이드라고도 부릅니다. 당질코르티코이드는 화학적인 염증 매개 물질을 억제하여 염증을 완화 시키고,..

류마티스관절염 2020. 3. 27. 22:09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반응형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