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010)
    • 자가면역질환 (198)
    • 류마티스관절염 (108)
    • 기타 질환 (640)
    • 식단 관리 (63)

검색 레이어

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길랑바레증후군진단기준

  • 길랑바레 증후군(GBS)의 검사방법과 진단 2_뇌척수액 검사

    2020.10.08 by gaulharu

  • 길랑바레 증후군(GBS)의 검사방법과 진단 1_신경전도/근전도검사

    2020.10.08 by gaulharu

길랑바레 증후군(GBS)의 검사방법과 진단 2_뇌척수액 검사

◈ 뇌척수액 검사 (요추천자) 뇌척수액 검사는 척추의 허리 부분에 부분 마취를 하여 척추강 내 뇌척수액을 뽑아내어, 뇌척수액에 있는 세균이나 바이러스, 전해질과 화학물질의 구성을 보는 검사입니다. 환자는 검사 전 소변과 대변을 보아야 합니다. 검사 동안 몸을 둥글게 한 태아자세로 가만히 누워 있고, 채취 후에도 당분간 가만히 누워 있는 것이 필요합니다. 뇌척수액 검사에서 보이는 알부민 세포해리는 길랑바레 증후군을 진단하는데 중요한 검사 소견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환자에서 처음에는 정상 소견을 보이다가 사지마비가 발생한 지 3일 이상 경과한 뒤에야 50%의 환자에서 알부민 세포해리가 관찰됩니다. 그러므로, 초기의 감별진단에는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뇌척수액 검사에서 단백 농도의 증..

자가면역질환 2020. 10. 8. 16:54

길랑바레 증후군(GBS)의 검사방법과 진단 1_신경전도/근전도검사

길랑바레 증후군의 진단은 간단치 않고, 많은 감별 진단이 필요합니다. 특히, 환자에 대한 철저한 의학적 평가를 통해 비슷한 증상을 나타내는 질환을 감별할 필요가 있습니다. 길랑바레 증후군 발병 시 몸의 양쪽에서 동시에 감각이상이 나타나고, 근무력증이 주로 나타납니다. 심부건 반사인 무릎 반사가 소실되어 있으며, 확진을 위해서는 요추 천자를 통한 뇌척수액 검사와 신경전도, 근전도 검사 등이 필요합니다. 또한 다른 신경계 질환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정밀 영상 촬영 검사나 혈액을 통한 다양한 진단 병리 검사, 신경 조직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혈청검사 (혈액검사) 일반적인 혈액검사를 포함하여 염증 상태를 알 수 있는 적혈구 침강속도(ESR)와 CRP, 갑상선 기능 검사 등을 진행합니다. 또한, 길랑..

자가면역질환 2020. 10. 8. 11:49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반응형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