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010)
    • 자가면역질환 (198)
    • 류마티스관절염 (108)
    • 기타 질환 (640)
    • 식단 관리 (63)

검색 레이어

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신경화증자가항체

  • 자가면역질환 산정특례 기준 2_자가면역뇌염/전신경화증/류마티스성 다발근통

    2020.06.01 by gaulharu

  • 전신경화증(SSc)의 진단기준과 치료방법

    2020.05.28 by gaulharu

  • 전신경화증(Systemic sclerosis, SSc)이란?

    2020.05.27 by gaulharu

자가면역질환 산정특례 기준 2_자가면역뇌염/전신경화증/류마티스성 다발근통

자가면역질환을 진단받게 되면, 진단을 받은 의료기관에서 산정특례가 신청되어 의료비 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먼저 해당 질환이 산정특례가 되는지 확인이 필요하며,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지정한 기준에 모두 부합해야 합니다. 의료기관에서 질환별로 진단에 필요한 검사 등을 진행해 진단이 되면, 희귀질환을 기준으로 5년간 급여항목에 한해 진료비, 검사비, 약제비 등의 90%를 경감받을 수 있습니다. 즉, 환자는 10%의 비용만을 부담하는 제도가 바로 산정특례제도입니다. 단, 비급여항목에 대해서는 지원 혜택이 없으며, 5년이 지나서도 질병이 지속된다면 임상진단 또는 별도의 지정된 검사 등을 거쳐 산정특례 재등록이 됩니다. 이전 포스트에서 다뤘던 극희귀질환인 '자가면역뇌염'과 희귀질환인 '전신경화증'과 '류마티..

자가면역질환 2020. 6. 1. 01:27

전신경화증(SSc)의 진단기준과 치료방법

◈ 전신경화증의 진단기준 2013년 미국류마티스학회(ACR)와 유럽류마티스학회(EULAR)에서 기존 분류 기준을 보완해 새 기준을 발표했고, 현재 이 기준으로 진단을 내립니다. 총 8 개의 항목은 중요도에 따라 점수가 정해졌으며, 같은 항목에 해당되는 세부 항목 중에서는 점수가 높은 한 항목의 점수만을 합산해 총 9점이 넘으면 명확한 전신경화증으로 분류합니다. ▷손허리손가락관절의 근위부를 침범하는 양측 피부경화 (9점) ▷손가락 피부경화: 아래 항목 중 높은 점수의 세부 항목 1개만 합산 -손가락 부종 (2점) -손허리손가락관절에서 원위부이면서 중수지관절 이내의 가락피부경화증 (4점) -외부 상처로 인한 반응성 경화는 배제 ▷손가락 끝 병소: 아래 항목 중 높은 점수의 항목 1개만 합산 -수지궤양(DU)..

류마티스관절염 2020. 5. 28. 19:21

전신경화증(Systemic sclerosis, SSc)이란?

전신경화증은 결합조직 성분 중 콜라겐이 과다하게 생성되고 축적되어 피부가 두꺼워지거나 각 장기의 기능에 장애를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또한, 피부, 폐, 심장, 소화기, 신장, 근 골격계를 주된 병변으로 하는 만성 전신성 질환이자 자가면역질환입니다. 질병 초기에는 염증 반응이 특징적이고, 진행하게 되면서 다수의 혈관에 기능적 구조적인 변화가 나타나고 섬유화로 인한 내부 장기의 기능 이상이 진행하게 됩니다. 여성이 남성에 비해 3~5배 이상 더 많이 발생하며, 주로 30~50대에서 가장 많이 생깁니다. 미국의 경우 10만 명당 1~2명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2014년 3227명, 2015년 3380명, 2016년에는 3700명으로 매년 환자가 늘고 있습니다. 전신경화증은 굉장히 드문..

류마티스관절염 2020. 5. 27. 23:44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반응형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