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자가면역질환이란?

자가면역질환

by gaulharu 2020. 3. 10. 23:41

본문

자가면역질환이란?

 

우리의 몸은 외부의 바이러스나 균 등으로부터 스스로 보호하기 위해 면역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 면역 시스템은 자기 몸을 지키기 위한 것으로 자기 몸을 공격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이 면역 시스템에 문제가 생기면 자신의 몸을 이물질 및 바이러스 등으로 잘못 판단해 이를 공격해 병을 일으키게 됩니다. 이를 '자가면역질환'이라 합니다.

 

 

대표적으로 류마티스 관절염, 제1형 당뇨병, 루푸스(전신홍반루푸스), 강직성 척추염, 섬유근통, 쇼그렌증후군 등 약 100여 가지의 질환이 자가면역질환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몸의 일부 세포만 파괴하기도, 전신의 세포를 공격하기도 하며 이 병을 앓고 있는 성별은 유독 여성이 많습니다.

 

유럽과 북미의 경우 전체 인구의 5%가 이 질환을 앓고 있습니다.

 

 

신체 부위별 대표적인 자가면역질환 종류

 

발병 부위 자가면역질환 병명
머리(뇌) 길랑바레증후군, 다발성 경화증, 자가면역뇌염, 자폐증
관절(뼈) 류마티스관절염, 강직성척추염, 다발성 근육성 류마티스, 성인형 스틸병
위장관 궤양성 대장염, 셀리악병, 크론병, 애디슨병
갑상선 갑상선염, 하시모토병, 그레이브스병
혈액 백혈병, 용혈성 이상지혈증
신경 제1당뇨병, 말초신경병증
천식, 베게너육아종증
피부 건선, 백반증, 습진, 피부경화증
근육 근육성 이영양증, 섬유근육통
구강 베체트병
전신 전신홍반루푸스

 

 

자가면역질환 발병 원인 

 

현재로서는 자가면역질환의 정확한 원인을 알 수 없습니다.

 

우리 몸의 면역시스템은 골수에서 림프구와 같은 면역 세포들을 만들어 내는데, 이상 반응을 일으킬만한 세포들은 걸러내 제거하게 됩니다.

 

이 시스템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 자가면역질환이 발생하게 됩니다.

 

유전적 인자, 환경적 요인, 성별 등을 고려해 볼 수 있으나 동일한 조건이라도 질환이 반드시 일어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여성이 남성보다, 여성의 호르몬의 변화가 심한 가임기와 임신 기간 동안 활성도가 높아진다는 연구보도가 있습니다.

 

 

자가면역질환 치료법 

 

기본적인 치료법은 신체에 발생한 염증을 조절하고, 과하게 일어나고 있는 면역력을 떨어트려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염증을 줄이기 위해 면역억제제와 항염증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환자의 가장 큰 고통인 염증을 조절하고 위해 비스테로이드 항염제를, 염증 감소와 면역계의 활성을 억제하기 위해 항류마티스제를 사용합니다.

 

특히, 항류마티스제는 비스테로이드 항염제보다 강력하게 작용하는 반면, 그 부작용이 더 크기 때문에 반드시 전문의의 정기적인 검진 및 혈액검사, 소변검사를 병행하며 사용해야 합니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