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강 내 장치(oral appliances)
구강 내 장치는 구강 내에 장착을 해서 상기도 내경을 넓혀주는 장치로서 치과영역에서 제작하여 사용합니다.
구강 내 장치에는 하악(아래턱)을 전방으로 당겨주어 좁아진 인두 기도를 확장해주는 장치(mandible advancement device;MAD), 후방으로 처진 혀를 당겨주는 기구(tongue retaining devices), 연구개(입천장에서 비교적으로 연한 뒤쪽 부분)를 긴장시켜 주는 기구(palatal lifter) 등이 있습니다.
이들 중 현재 하악전돌 장치(MAD)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하악전돌 장치는 상악과 하악 치아에 각각 부착되어, 아래턱을 전방으로 위치 및 유지시켜주는 장치입니다.
대부분의 하악전돌 장치는 악궁 전체의 교합면을 피개(윗니가 아랫니를 덮음)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주로 투명하고 견고한 아크릴릭 레진(아크릴수지) 및 유지력을 얻기 위한 clasp(걸쇠)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하악전돌 장치는 형태에 따라서 비조절성의 one-piece 형태 및 조절성의 two-piece 형태로 구분됩니다.
Two-piece 형태의 하악전돌 장치는 어느 정도의 개구 및 하악의 측방 운동을 허용합니다.
주로 하악의 최대 전방이동량의 75% 정도의 하악전돌 상태로 전방이 동량을 설정하지만, 환자의 치료 효과 및 불편감을 고려하여 전방이동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악전돌 장치가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작용을 나타내는 원리는 크게 2가지로 추정됩니다.
첫 번째는 하악의 전방 위치를 통하여 기도의 직경이 증가되며, 이로 인하여 흡기 시의 음압에 대한 기도의 협착 저항성이 증가한다는 이론입니다.
두 번째는 하악의 전방이동으로 인하여 인두의 신장이 발생하여, 이로 인한 인두 운동 체계가 활성화된다는 이론입니다.
구강 내 장치는 단순 코골이나 경증의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을 가진 환자에서 체중 감량이나 수면 자세의 변화와 같은 행동요법에 효과가 없을 경우, 또는 중등도 이상의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을 보이지만 양압기 치료에 순응하지 못하는 환자에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코골이 소음이 심한 경우에 효과적이며 수면무호흡증의 치료에는 그 효과가 제한적입니다.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치료 효과를 평가해야 하며, 경과에 따라 구강 내 장치를 재 조절할 수도 있습니다.
구강 내 장치 치료의 부작용으로는 턱관절 및 관련 근육, 치아, 구강연조직 등의 통증 및 턱관절 잡음, 교합 의 변화 및 부조화 등이 있습니다.
◈ 약물 요법(pharmacologic)
현재 약물치료는 무호흡이나 저호흡 같은 수면장애를 호전시키는 것에 관해서 매우 제한적인 역할만을 하고 있으며 실제적으로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습니다.
하지만 부가적이거나 보조적으로 적응이 되는 경우 모다피닐(modafinil)과 국소용 비스테로이드제 등은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치료를 대신하기 위해 여러 약제들이 연구되었지만, 앞에서 열거된 치료방법을 대체할 만한 효능이 있지는 않았습니다.
호흡중추에 작용을 하여 호흡의 노력을 증가시키는 약으로 테오필린(theophylline)과 아세타졸아마이드(acetazolamide, 아세타졸아미드)가 있습니다.
테오필린(theophylline)은 좌심실 수축부전으로 인한 중추성 수면 무호흡증에서 사용됐습니다.
테오필린은 기관지 확장을 일으켜 기관지에서 평활근 이완을 유도하는 크산틴유도체이며, 천식 치료에 널리 사용됩니다.
하지만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는 수면을 방해하고 폐쇄의 횟수를 줄이는 효과가 아주 적어 사용을 권하지 않습니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아세타졸아마이드를 사용해서 혈액 내의 산소화를 증가시킨다는 증거는 아직 부족하며, 수면 중 폐쇄의 횟수를 줄이기는 하지만 그 외의 수면 지표에는 명확한 효과가 없었습니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치료를 적절히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간 졸림증이 심한 경우 보조요법으로서 약물 치료를 시작해 볼 수 있습니다.
그 예로 모다피닐(modafinil)은 각성제로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로서 몇 개의 무작위 연구에서 그 유효성이 증명되었습니다.
이에 미국수면의학회에서는 “모다피닐은 효과적인 PAP 치료에도 불구하고 졸림이 남아 있고, 졸림의 다른 원인을 확인할 수 없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남아있는 과도한 주간 졸림증 치료에 권유된다.”라고 권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모다피닐을 사용할 경우 일부 환자에서 혈압이나 심박동 수가 약간(mild)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기 때문에, 이 약을 사용할 때에는 혈압을 주기적으로 관찰하며 주의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런 약물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반드시 양압기 등의 1차 치료에 대한 순응도가 확인되어야 하며, 주간 졸림증을 일으킬 만한 다른 원인이 없는지 확인을 해야 합니다.
*참고:
1)논문_민진수 외 1인,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내과적 치료, 대한내과학회, 제89권, 제1호, 2015, 24~25p
2)논문_이승훈 외 1인, 폐쇄성수면무호흡증의 행동요법 및 약물치료, J Clinical Otolaryngol 2008;19, 149~151p
3)논문_신원철 외 3인, 폐쇄성수면무호흡증의 치료에 대한 치과의사의 임상적 접근, 대한치과의사협회지, 제53권, 제1호, 2015, 51~52p
4)논문_이승훈 외 1인, 폐쇄성수면무호흡증의 행동요법 및 약물치료, J Clinical Otolaryngol 2008;19, 150p
5)논문_김천식 외 3인, Treatment Outcomes of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s in Obstructive Sleep Apnea Patients, Korean J Clin Lab Sci. 2011, 43(2), 83p
수면무호흡증의 치료방법 4_외과적 치료 2(연구개 수술) (0) | 2021.08.22 |
---|---|
수면무호흡증의 치료방법 4_외과적 치료 1(비강 수술) (2) | 2021.08.21 |
수면무호흡증의 치료방법 2_양압기 치료(2) (0) | 2021.08.19 |
수면무호흡증의 치료방법 2_양압기 치료(1) (0) | 2021.08.18 |
수면무호흡증의 치료방법 1_행동 요법 (0) | 2021.08.17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