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010)
    • 자가면역질환 (198)
    • 류마티스관절염 (108)
    • 기타 질환 (640)
    • 식단 관리 (63)

검색 레이어

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혈관성치매_치료방법

  • 혈관성 치매의 치료방법 2_메만틴/최근 이슈

    2020.12.12 by gaulharu

  • 혈관성 치매의 치료방법 1_아세틸콜린 분해효소 억제제

    2020.12.11 by gaulharu

  • 혈관성 치매(Vascular dementia)의 진단기준과 예방방법

    2020.12.11 by gaulharu

혈관성 치매의 치료방법 2_메만틴/최근 이슈

◈ 메만틴(memantine) 메만틴은 N-methyl-D-aspartate(NMDA) 수용체 차단제로서 글루탐산염에 의한 흥분독성(glutamate-induced excitotoxicity)을 막아서 뇌세포 손상을 감소시킵니다. 메만틴은 중증 및 고도 알츠하이머병의 적응증을 획득했으며, 미국에서 진행된 연구에서도 초기 알츠하이머병에서도 치료적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습니다. 또한, 메만틴을 투여하여 중등도 이상으로 진행한 혼합형 치매 환자의 전반적인 기능이 향상되고 간호의 비중이 감소하는 효과를 보였습니다. 메만틴은 대혈관 질환에 의한 혈관성 치매보다는 대뇌 피질손상이 없는 소혈관 질환에 의한 피질하 허혈성 혈관성 치매에서 우수한 효과를 보였습니다. 혈관성 치매(MMSE score 12-20)환자를 대상..

기타 질환 2020. 12. 12. 10:00

혈관성 치매의 치료방법 1_아세틸콜린 분해효소 억제제

Hachinski는 혈관성 치매의 임상 경과는 위험단계(brain-at-risk stage), 전-치매단계 (pre-dementia stage), 치매 단계(dementia stage)로 나누고, 위험단계와 전-치매 단계에서는 예방을, 치매 단계에 들어서면 치료에 주력하도록 했습니다. 그동안 혈관성 치매에 대한 최선의 치료법은 아세틸콜린분해효소 억제제와 메만틴이었습니다. 이 두 약물은 알츠하이머병에 승인된 약물들이지만, 혈관성 치매와 알츠하이머병이 신경병리학적 그리고 신경화학적인 요인을 공유한다는 설득력 있는 근거들로 이들 약물 사용 되어 왔습니다. 특히 콜린 결핍 혈관성 치매에서도 동일하게 적용이 됐습니다. ◈ 아세틸콜린 분해효소 억제제(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s; ACh..

기타 질환 2020. 12. 11. 23:34

혈관성 치매(Vascular dementia)의 진단기준과 예방방법

◈ 혈관성 치매의 진단기준 혈관성 치매의 진단기준으로는 여러 가지가 제시되어 있으나, NINDS-AIREN 기준이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NINDS-AIREN에서 제시한 진단기준은 치매와 심혈관 질환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기준이 가장 엄격하고, 혈관성 인지장애의 이질성과 다양성을 포용합니다. 또한, 높은 특이도를 가지고 있어 대부분의 혈관성 인지장애 연구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기준 내용 치매 기억을 포함한 인지기능 저하로 독립적인 일상생활에 장애가 있는 상태 뇌혈관 질환 (다음 중 한가지) 뇌졸중 기왕력 진찰상 국소 신경학적 징후(기왕력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음) CT/MRI로 뇌졸중 병변 확인 치매와 뇌혈관 질환의 시간적 관련성 뇌졸중 발병 3개월 내에 치매가 생긴 경우 인지..

기타 질환 2020. 12. 11. 10:42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반응형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