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010)
    • 자가면역질환 (198)
    • 류마티스관절염 (108)
    • 기타 질환 (640)
    • 식단 관리 (63)

검색 레이어

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수면무호흡증_비수술치료

  • 수면무호흡증의 치료방법 3_구강 내 장치/약물 요법

    2021.08.20 by gaulharu

  • 수면무호흡증의 치료방법 2_양압기 치료(2)

    2021.08.19 by gaulharu

  • 수면무호흡증의 치료방법 2_양압기 치료(1)

    2021.08.18 by gaulharu

  • 수면무호흡증의 치료방법 1_행동 요법

    2021.08.17 by gaulharu

수면무호흡증의 치료방법 3_구강 내 장치/약물 요법

◈ 구강 내 장치(oral appliances) 구강 내 장치는 구강 내에 장착을 해서 상기도 내경을 넓혀주는 장치로서 치과영역에서 제작하여 사용합니다. 구강 내 장치에는 하악(아래턱)을 전방으로 당겨주어 좁아진 인두 기도를 확장해주는 장치(mandible advancement device;MAD), 후방으로 처진 혀를 당겨주는 기구(tongue retaining devices), 연구개(입천장에서 비교적으로 연한 뒤쪽 부분)를 긴장시켜 주는 기구(palatal lifter) 등이 있습니다. 이들 중 현재 하악전돌 장치(MAD)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하악전돌 장치는 상악과 하악 치아에 각각 부착되어, 아래턱을 전방으로 위치 및 유지시켜주는 장치입니다. 대부분의 하악전돌 장치는 악궁 전체의 교합..

기타 질환 2021. 8. 20. 00:02

수면무호흡증의 치료방법 2_양압기 치료(2)

◈ 적정 압력의 측정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치료하기 위하여 기도에 전달되는 압력은 기본적으로 수면 중 체위 변화 및 수면 단계 등 모든 상황에서 기도폐쇄를 억제하는 동시에 환자의 각성을 유도하지 않아야 합니다. 이런 적정 압력은 특정 압력에서 최소 15분 이상 호흡장애 지수를 시간당 5 이하로 유지하면서 산소포화도를 90% 이상 유지할 수 있는 압력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앙와위 렘수면(supine REM sleep) 때 가장 높은 압력이 요구되기 때문에 최상의 적정 압력이라고 하기 위해서는 위 15분의 시간에 앙와위 렘수면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합니다. 지속형 양압기 치료에서는 수동으로 일정한 압력을 측정해 고정 압력을 사용하게 됩니다. 처음에는 낮은 압력(4 cmH2O 부터)에서 시작하여, 기도폐쇄..

기타 질환 2021. 8. 19. 00:11

수면무호흡증의 치료방법 2_양압기 치료(1)

◈ 양압기 치료(positive airway pressure therapy)란? 양압기 치료는 수면 중 기도에 양압을 적용함으로써 기도 내에 공기부목 효과를 만들어 기도가 좁아지면서 발생하는 다양한 호흡장애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Sullivan 등에 의해 1981년 처음 소개된 양압기는 협착이 이루어지는 상기도에 지속적으로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공기 압력으로 협착을 방지해주는 공기부목의 원리를 이용한 방법으로 심각도와 상관없이 모든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중등도 이상의 폐쇄성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는 표준 치료로 권유되며, 경도의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는 선택적으로 권유됩니다. 양압기는 이미 높은 근거 수준의 많은 연구들을 통해 무호흡-저호흡 지수, 객관적 및 ..

기타 질환 2021. 8. 18. 03:20

수면무호흡증의 치료방법 1_행동 요법

수면무호흡증의 치료는 중등도, 위험요소, 동반질환 유무, 환자의 치료 적응도 및 선호도 등에 따라 치료 방침을 정합니다. 치료 방법은 행동 요법과 양압기 치료, 구강 내 장치, 약물 요법 및 수술적 치료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먼저 행동요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 행동 요법(behavior modification) 행동 요법은 환자의 수면방법이나 생활습관의 행동 변화를 줌으로써, 수면무호흡증의 개선에 도움을 주는 방법입니다. 1) 체중 감량 및 운동 비만은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키는 중요한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과체중이거나 비만을 동반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는 체중 감량과 운동을 반드시 병행해야 합니다. 체중 감소는 무호흡-저호흡지수(apnea-hypopnea ind..

기타 질환 2021. 8. 17. 00:22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반응형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자가면역질환 극복하기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