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유방암의 치료방법 1_수술 관련 합병증과 증상 관리

기타 질환

by gaulharu 2022. 4. 26. 22:07

본문

수술 관련 합병증 

 

1) 수술 부위의 출혈 

유방 또는 겨드랑이의 수술 부위에서 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적은 양에서 드물게는 많은 양의 출혈이 발생할 수 있는데, 적은 양의 출혈은 특별한 치료 없이 저절로 흡수되지만 출혈량이 많을 경우 혈압이 떨어져 위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수술부위 압박, 수혈을 할 수 있습니다.

 

계속 지혈이 되지 않거나 출혈량이 많으면 재빨리 고인 혈액을 빼내는 지혈 수술을 해야 하므로 수술 후 어지럽거나 수술 부위가 부어오르면 바로 의료진에게 알려야 합니다. 

 

 

2) 림프 부종 (액와부 림프절 절제술 시에만 해당) 

액와부(겨드랑이)의 림프절은 같은 쪽 팔에서 올라오는 림프관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수술 범위에 따라 정도의 차이가 있으며, 림프절을 모두 제거하는 수술을 시행하는 경우 5~20% 정도의 환자에서는 림프 부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수술 부위의 창상 감염, 흉터, 통증 

수술 부위에 염증이 생길 수 있으며, 혈액이나 장액이 고여 부어 오르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환자에 따라서는 흉터가 크게 남기도하고 유방 모양이 일부 보기 싫게 변할 수 있습니다. 

 

유두 주위의 종양을 제거하는 경우 유두의 괴사, 함몰 등이 드물게 발생합니다. 

 

 

4) 전신마취에 따른 합병증 

무기폐, 폐렴,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저하, 심근경색 등이 드물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약물에 대한 과민반응 

마취 중 또는 수술 후 사용하는 약물에 대해 호흡곤란, 혈압저하, 실신, 가려움, 구토, 발진 등과 같은 부작용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전에 약물에 과민반응이 있었던 환자는 이 사실을 주치의에게 꼭 알려야 합니다. 

 

아스피린, 쿠마딘(와파린)과 같은 항응고제의 복용은 수술 시 출혈 가능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복용 여부를 반드시 수술 전 의료진과 상의해야 합니다. 

 

 

수술 직후 증상 관리 

 

1) 배액관 관리 

유방암 수술 후에는 수술 부위에 고여 있는 체액을 제거하여 상처 치유를 촉진하고, 출혈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배액관을 삽입합니다. 

 

<수술 후 배액관 관리 (수술 받은 반대 방향으로 고정) / *출처: 서울삼성병원>

 

배액관을 수술 반대 부위로 고정하면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2) 자세 유지 

수술 후에는 통증 완화를 위해 무의적으로 수술 받은 쪽의 어깨가 기울어지기 쉽습니다. 처음에는 자세의 문제이지만, 지속적으로 진행이 되면 척추에 무리를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거울을 보며 바른 자세를 가지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또한, 경직된 어깨와 팔의 자세는 어깨, 팔, 목, 머리 등의 통증을 증가시키므로 적극적인 운동을 통해 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합니다. 

 

 

3) 감각 이상 

겨드랑이 림프절을 제거한 경우 그 부위가 시리거나 저리고 따끔 따끔하고 콕콕 쑤시기도 하며 남의 살이나 나무껍질 만지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합니다. 

 

이런 불편한 느낌들은 수개월에서 수년동안 지속되기도 하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좋아집니다. 

 

 

4) 상처 지지형 속옷 

수술 직후에는 상처 지지형 속옷을 사용하게 됩니다. 수술 부위에 적절한 압력을 제공하여 부종과 통증을 감소시키며 간편한 착용으로 잦은 수술 부위 소독 등에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수술 직후부터 4~6주 까지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5) 인조유방 

인조유방은 실리콘으로  제작되어 특수 브래지어 안에 넣거나 몸에 직접 부착하여 착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외관상의 이유뿐 아니라 체형의 균형을 맞춰주기 위한 목적도 있습니다. 

 

수술 상처가 깨끗이 아물거나 부기가 가라앉는 수술 후 6~8주 뒤부터 착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인조유방의 평균 사용기간은 3~5년이며 관리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피부에서 나오는 분비물이 실리콘을 싸고 있는 겉표면을 마모시켜 사용기간을 단축시키게 되므로 규칙적으로 매일 씻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②긁거나 문지르지 말고 물과 중성 비누로 부드럽게 닦습니다. 

 

③맑은 물로 헹군 후 부드러운 천으로 물기를 제거합니다. 

 

 

④강한 세제 및 뽀족한 물건에 닿지 않도록 하며 직사광선은 피합니다.

 

⑤세탁 후 원래 상자안에 넣어 보관하면 변형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⑥방사선 치료기간 동안에는 피부 보호를 위해 사용하지 않습니다. 

 

 

퇴원 후 자가관리 

 

1) 상처 관리

▷종이 테이프를 가지고 있는 경우 그대로 유지합니다. 일부로 제거하지 말고 떨어져도 다시 붙이지 않아도 됩니다.

 

배액관 제거 부위에 붙어 있는 밴드는 2~3일 후 제거하셔도 됩니다. 

 

상처의 염증 증상(수술 부위의 발적, 심한 통증, 분비물, 부종, 발열)이 있을 시 병원에 문의해야 합니다. 

 

 

2) 수술 후 목욕 

▷수술 후 2주 정도는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합니다. 

 

▷수술 부위에 거즈와 방수 테이프를 붙이고 샤워를 합니다. 

 

▷실밥이 있는 경우 실밥 제거 후 2~3일 정도까지 물이 닿지 않도록 합니다. 

 

▷통목욕은 수술 후 1달이 지난 후 가능합니다. 

 

 

3) 증상 관리 

▷물이 차는 증상 

유방 안에 물이 찬 듯이 출렁이는 느낌이 들 때에는 병원에 문의합니다. 이는 유방조직을 제거한 공간에 물이 차는 것으로 출혈이나 염증 증상이 아닙니다. 

 

양이 적은 경우에는 저절로 증상이 좋아지지만 양이 많아서 불편하고 아프면 주사기를 이용하여 유방 안의 물을 제거하기도 합니다. 

 

 

▷감각 이상 

겨드랑이의 림프절을 제거하는 수술 후에는 겨드랑이에서 팔 부위로 감각 저하, 저린감 등의 감각 이상을 느끼게 됩니다. 

 

이런 느낌들은 시간이 지나면 점차 좋아지지만 보통은 수개월에서 수년 동안 장기간 지속되기도 합니다. 

 

 

▷통증 

수술 후 통증은 개인차가 있으나 시간이 지나면 좋아집니다. 퇴원 후 통증이 있을 때에는 병원에서 제공한 진통제를 복용합니다. 

 

 

▷림프 부종 

림프절을 제거한 경우에 발생하며 감시 림프절만 제거하면 발생하지 않습니다. 

 

①수술 받은 쪽의 팔이 붓는 것을 그냥 넘기지 말고 의사에게 알려 치료를 받습니다. 

 

②수술 받은 쪽 팔은 피를 뽑거나 주사를 맞지 않습니다. 

 

 

③혈압도 반대편 팔에서 측정합니다.

 

④격한 운동이나 무거운 물건 들기를 가능한 한 피합니다.

 

⑤꽉 끼는 반지도 피합니다.

 

⑥목욕할 때는 물론 식기 세척 같은 것을 할 때에도 냉수와 온수를 급격히 바꾸지 않습니다.

 

⑦가능한 한 화상을 포함하여 외상을 입지 않도록 합니다.

 

⑧의사와 상의하여 운동을 꼭 합니다. 권장할 만한 운동은 산책, 수영, 에어로빅, 자전거 타기 등입니다.

 

 

4) 일상 생활 관리 

▷브래지어 착용 

부분절제 후에는 너무 조이지 않는 브래지어, 와이어가 없는 브래지어를 착용합니다. 전절제 후라면 6주간 상처 지지용 속옷을 착용 후 일반 브래지어, 보정용 브래지어를 착용합니다. 

 

 

▷식생활 

수술 후 금기 음식은 특별히 없으며 편식하지 말고 골고루 음식을 섭취합니다. 근거가 없는 치료법(음식, 약, 비방, 한양 등)에 의존할 경우 오히려 부작용이 유발되거나 치료 시기를 놓칠 수 있습니다. 

 

 

5) 퇴원 후 외래 방문 및 검사 

퇴원 후 1~2주 뒤에 외래를 방문하여 수술 부위 상처를 확인하고 조직검사 결과에 따라 앞으로 치료 방향을 결정하게 됩니다. 

 

 

 수술 후 경과 및 치료 

 

수술 후 완전히 종양을 제거했더라도 남은 유방 조직에서 재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악성종양은 유방 주위 피부, 흉벽, 액와부, 목의 림프절에 재발할 수 있으며 혈관 또는 림프관을 따라 전신적으로 퍼져 뼈, 폐, 간, 뇌 등의 부위에 원격전이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따라서 재발을 줄이기 위해 추가적인 치료와 정기적인 검진이 필요합니다. 

 

 

*참고:

1)site_유방암, 국가암정보센터

2)소책자_유방암, 삼성서울병원, 환자와 보호자를 위한 안내서: 질환편, 2018, 24~29p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