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췌장암의 조기 검진과 진행 단계(병기)

기타 질환

by gaulharu 2022. 2. 13. 23:49

본문

조기 검진

 

췌장암을 조기에 발견하게 해주는 혈액검사는 아직 없습니다.

 

하지만 가족력이 있는 사람, 당뇨나 만성 췌장염 환자, 흡연자 등 췌장암 발생 위험도가 높은 사람들은 초음파 내시경 검사(EUS)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1) 혈액 검사와 CA19-9

췌장암이 생겼을 경우, 암세포에서 생성하는 CA(carbohydrate antigen)19-9라는 물질(당지질)이 혈액 검사에서 검출될 수 있습니다.

 

종양 세포에서 특이하게 만들어져서 암의 진단이나 경과 관찰에 지표가 되는 이런 물질을 종양표지자라고 합니다.

 

 

하지만 CA19-9가 계속 검출된다면 암은 이미 초기 단계가 아닌 것이므로, 이 검사법은 암의 증상이 없고 췌장암 진단을 받지 않은 사람들의 조기 검진용으로는 권장되지 않습니다.

 

다른 종양표지자인 암태아성 항원(carcinoembryonic antigen, CEA)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2) 유전자검사

췌장암의 약 10%는 유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따라서 미국암협회(American Cancer Society, ACS)에서는 유전자 검사에 대해 전문 의료진과 상담할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감별 진단

 

췌장암은 췌장염과의 감별이 임상적으로 가장 중요하지만, 그것이 어려울 때가 종종 있습니다.

 

일부 췌장염은 염증성 종괴를 형성하는데, 이 경우 조직 검사를 해도 암이 아니라고 확실히 판정하기가 힘들 수 있습니다.

 

조직 검사를 할 때는 수술로 전체 조직을 절제해낸 경우와 달리 극히 일부의 세포 또는 조직을 채취하여 검사하므로, 실제는 암이더라도 채취된 부분에서는 암세포가 안 나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럴 때는 여러 정밀 검사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판단하게 됩니다.

 



이 외에, 췌장 머리 부분에 생긴 췌두부암은 원위부(遠位部) 담관암, 십이지장암, 바터 팽대부암 등과의 감별이 필요합니다.

 

드물게는 췌장으로 전이해 온 암과도 감별을 요합니다.

 

바터 팽대부(Vater 膨大部)는 총담관과 췌관이 만나서 십이지장으로 들어가는 부위입니다. 십이지장 유두부에 위치하며, 십이지장 팽대부라고도 합니다.

 

 

 진행 단계

 

췌장암이라는 진단이 나오면 예후를 내다보고 적절한 치료 방침을 세우기 위해 암이 얼마나 진행되었는지를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병기(病期, stage)를 판정하게 됩니다.

췌장암의 병기 결정은 널리 쓰이는 TNM 분류법(TNM classification)을 따릅니다.

 

T(tumor)는 원발(原發) 종양의 크기와 침윤 정도를 나타내고, N(node)은 주위 림프절로 퍼진 정도를, M(metastasis)은 다른 장기로의 전이(원격전이) 여부를 나타냅니다.

 

이들 세 요소를 조합하여 병기를 1~4기로 구분합니다.

 

*원발 혹은 원발성 종양: 해당 장기 자체에서 발생한 종양을 말합니다.

암이 췌장에 국한되어 있고 전이가 없으면 1기, 암이 주변 장기로 퍼져 있지만 주요 동맥 혈관의 침범이 없는 경우는 2기, 암이 주요 동맥 혈관을 침범하여 국소적으로 진행됐거나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는 3기, 폐나 복막, 간 등 먼 장기로까지 암이 전이했다면 4기로 분류합니다.

 

 

<췌장암의 병기 분류>

[ T(tumor) 병기, N(node) 병기, M(metastasis) 병기의 분류 ]
병기
원발 종양의 크기
TX 원발성 종양의 침윤 정도를 판별할 수 없을 경우
T0 원발성 종양의 증거가 없는 경우
Tis 상피(上皮) 내 암종
T1 종양의 최대 길이가 2cm 이하인 경우
T1a 종양의 최대 길이가 0.5cm 이하인 경우
T1b 종양의 최대 길이가 0.5cm 초과 1cm 미만인 경우
T1c 종양의 최대 길이가 1cm 이상 2cm 이하인 경우
T2 종양의 최대 길이가 2cm 초과 4cm 이하인 경우
T3 종양의 최대 길이가 4cm 초과인 경우
T4 종양의 크기와 상관 없이 복강동맥, 상장간동맥, 총간동맥를 침범한 경우
병기
림프절 전이 정도
NX 림프절 전이 정도를 판별할 수 없는 경우
N0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
N1 국소 림프절 전이 개수가 1~3개 경우
N2 국소 림프절 전이 개수가 4개 이상인 경우
병기
원격전이 유무
M0 원격 전이가 없는 경우
M1 원격 전이가 있는 경우

 

 

<출처: 삼성서울병원>

 

 

*참고:
1)site_췌장암,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암의 종류
2)소책자_췌장암과 치료를 위한 안내, 삼성서울병원, 암교육센터, 환자와 보호자를 위한 안내서_질환편, 2017, 17p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