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거병(Bueger's Disease)의 원인과 검사방법
◈ 버거병의 원인
버거병의 원인으로는 흡연, 유전적 요인, 과응고 상태, 혈관내피세포의 기능 이상, 면역학적 기전 등이 보고되고 있으나, 이들 중 가장 뚜렷한 증거를 가지고 있는 것은 흡연입니다.
비록 버거병이 상기한 원인들 중 어느 한 인자에 의해서 발병한다고는 보기 어렵지만, 흡연이 이 질환의 시작과 완화 및 악화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은 명확한 사실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간접적인 2차 흡연의 경우 이로 인해 버거병이 유발될 수 있다는 증거는 없으나 이 질환의 급성기에서는 적어도 증상의 지속과는 관계가 있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Matsushita의 보고에 의하면 소변 내 코티닌 수치로 대변되는 지속적인 흡연과 버거병의 활동성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관찰되고 있습니다.
*코티닌: 담배에서 발견되는 알칼로이드이며, 신체가 니코틴을 분해할 때 생성되는 주요 대사산물입니다.
그러나 흡연이 이 질환과 밀접한 관련성은 있으나 모든 흡연자에서 버거병이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단지 소수의 흡연자에서만 이 질환이 발생하는 것으로 미루어 버거병의 발생에는 다른 원인 인자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유전적 소인에 관한 연구에서는 아직까지 명확하게 증거 된 유전인자는 없습니다.
혈액 응고 체계의 이상, 혈관 내피세포 기능 이상 또는 면역학적 요인 등이 거론되고 있으나 아직은 확실치 않으며, 이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상태입니다.
이러한 소인들은 다른 원인 인자에 보조적 혹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주로 젊은 남성 또는 중년 남성(전형적인 발병 연령은 약 40~45세 정도)에게 발병하는데, 미국과 유럽에서는 매우 드물게 나타납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인도, 일본, 이스라엘 유대인 등 아시아 및 중동 지역에서 더 잘 발생하는 것으로 보이며 1986년 미국에서의 발생률은 10만 명당 12.6-20명으로 보고된 바 있습니다.
간접흡연이 버거병을 유발한다는 증거는 없으나, 버거병의 급성기에 증상을 지속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되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남성 대 여성의 발병 비율이 100:1이었지만 최근의 의학문헌에 의하면 거의 3:1 정도의 발생 비율을 보이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습니다.
50대 이상에서 버거병의 발병 비율은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더 높으며, 아주 드물게 어린아이들에게서도 버거병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 버거병의 검사방법
1) 혈액 검사
실제 버거병을 진단하기 위한 혈액검사는 없습니다. 하지만 버거병과 감별해야 할 유사 질환들과 구분하기 위해 여러 혈액 검사들을 시행합니다.
2) 혈관 검사
▷혈관조영술
과거부터 혈관 질환에 가장 표준이 되는 검사였으나, 대퇴동맥 부위를 직접 천자해야 하는 침습적인 검사로 현재 여러 다른 검사들로 대체되고 있습니다.
혈관 안으로 조영제를 직접 주입해 X-ray를 이용해 촬영하는 검사로, 영상처리를 해 뼈는 보이지 않고 조영제가 지나가는 혈관만 보이게 합니다.
버거병의 경우 혈관조영술 상 말단 부위 혈관이 막혀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징적으로 막힌 부위 주위로 꽈배기 모양의 옆가지 동맥들이 발달해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혈관 초음파
해부학적으로 동맥의 막힌 부위를 파악할 수 있으며, 혈류 속도나 혈류량 측정과 같은 생리학적 정보를 얻을 수 있으므로, 정맥 내 혈전 유무를 파악하여 표재성 혈전정맥염을 진단하는데도 유용합니다.
하지만, 검사 결과가 검사자의 숙련도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컴퓨터단층촬영(CT)
현재 기술의 발달로 혈관조영술과 유사한 3차원 영상을 얻을 수 있어 많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자기공명영상 (MRI)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혈관의 영상을 얻을 수 있으나, 혈관조영술이나 CT에 비해 해상도는 떨어집니다. 하지만 조영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방사선에 노출될 위험이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기타 검사
운동 부하검사, 구역별 사지압(Segmental limb pressure) 측정 및 맥박 용적 기록 등 비침습적 혈관 검사들이 있습니다.
*구역별 사지압: 사지(팔,다리)의 구역별로 혈압을 측정하여 이상부위를 찾아내는 것입니다.
3) 조직검사
일반적으로 필요하지 않으나, 비흡연자 또는 45세 이후 발생하거나, 말단 중소 동맥이 아닌 큰 동맥을 침범하여 일반적인 버거병의 임상양상과 상이한 경우 조직검사를 시행해서 진단할 수 있습니다.
버거병의 영향을 받은 사지의 피부 생검은 생검 부위가 잘 치유되지 않을 수 있어 대개 시행하지 않습니다.
4) 감별 진단
버거병과 감별해야 할 질환들로는 동맥경화증이나 색전증, 각종 혈관염, 혈액 응고항진 상태, 자가면역성 혈관질환, 베체트병, 피부경화증과 같은 결체조직 질환이나 반복되는 외상(직업상 진동에 노출되는 경우 등)에 의한 혈관 폐색 등입니다.
▷죽상 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 혈관 내 콜레스테롤이 쌓이는 질환
▷심내막염(Endocarditis): 심장 내 염증이 생기는 질환
▷결합조직 질환과 관련된 심한 레이노 현상(Raynaud’s Phenomenon), 피부경화증
◈ 버거병의 진단 기준
여러 가지 진단 기준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아래의 소견이 있을 시 버거병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1) Olin 기준
▷발병 나이: 45세 이하
▷흡연력: 현재 흡연하고 있거나 과거에 흡연한 적이 있을 것
▷손이나 발의 허혈(발로 피가 잘 가지 못하는 상태)이 증명될 것
▷혈관염을 유발하는 자가면역질환이나 과응고상태 또는 당뇨병이 아닐 것
▷혈전증(혈전이 동맥을 막는 질환)이 아닐 것
▷혈관조영술 검사 소견이 특징적일 것
*참고:
1)site_폐색혈전혈관염(버거병), 질병관리청 희귀질환헬프라인, 희귀질환정보
2)논문_허승, 버거병, 대한혈관외과학회지, 제21권, 제2호, 2005, 2~3p
3)site_Buerger's Disease, Johns Hopkins Medicine, Vasculitis Center, Types of Vasculit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