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질환

제2형 당뇨병 치료제_혈당강하제 종류와 특징

gaulharu 2020. 11. 24. 11:18

제2형 당뇨병 치료는 인슐린 공급을 통한 치료라고 생각하지만, 처음부터 인슐린 치료를 하지는 않습니다.

 

당뇨병 초기에는 경구 혈당강하제로 혈당 조절을 시작합니다. 경구용 혈당강하제는 먹는 인슐린이 아닙니다.

 

췌장의 베타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자극, 촉진시키거나 말초에서의 인슐린이 세포에 잘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혈당 조절에 도움을 주는 약입니다.

 

경구용 혈당강하제를 복용하더라도 다른 약물로 인해 혈당이 높아지거나 낮아져 혈당 조절이 잘 안될 수 있습니다. 

 

이뇨제(치아자이드계), 갑상선 호르몬제, 결핵약(아이나, 리팜피식), 부신피질 호르몬제, 경구용 피임약, 성장 호르몬제, 시럽제는 혈당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아스피린, 항응고제(와파린), 항통풍약(프로베네시드), 항생제, 알코올(술) 등은 혈당을 낮출 수 있습니다. 

 

제2형 당뇨병 치료시, 현재 복용하고 있는 약물에 대해 의사와 상담을 통해 환자 개개인에 맞도록 약물을 처방 받아야 합니다. 

 

 

메트포르민 Metformin

 

①작용 기전 및 복용법 

-간에서 당생성 감소 

 

-말초 인슐린 감수성 개선 

 

-저용량으로 투여를 시작하여 증량

 

-식사와 함께 투약 

 

②체중변화: 없음 또는 감소 

 

③저혈당(단독): 없음

 

④당화혈색소: 감소(단독): 1.0~2.0%

 

⑤부작용: 

-젖산산증, 소화장애(설사, 구역, 구토, 복부팽만, 식욕부진, 소화불량, 변비, 복통)

-비타민 B12 결핍

 

 

⑥주의점

-금기: 중증 간, 신장애(eGFR < 45mL/min/1.73㎡), 탈수, 심각한 감염, 심혈관계 허탈(쇼크), 급성 심근경색증, 패혈증, 저산소증 상태 급성 및 불안정형 심부전 

 

-안정형 만성 심부전 사용 가능

 

-중지: 48시간 이내 중등도 이상의 수술이나, 중등도 신장애(eGFR 45~60mL/min/1.73㎡) 환자가 요오드 조영제를 사용하는 검사 시 

 

 

설폰요소제 Sulfonylureas (gliclazide, glipizide, glimepiride, glibenclamide) 

 

①작용 기전 및 복용법:

-췌장 베타세포에서 인슐린 분비 증가 

 

-식전 복용 

 

②체중변화: 증가 

 

③저혈당(단독): 있음

 

④당화혈색소 감소(단독): 1.0~2.0%

 

⑤부작용: 관절통, 요통, 기관지염

 

⑥주의점

-금기: 중증의 간, 신 장애(사용 경험 없음)
-2차 실패 

 

 

티아졸리딘디온 Thiazolidinediones (piolglitazone, libelitazone)

 

①작용 기전 및 복용법 

-근육, 지방, 인슐린 감수성 개선

-간에서 당 생성 감소 

-식사에 관계없이 1일 1회 복용

 

②체중변화: 증가

 

③저혈당(단독): 없음

 

④당화혈색소: 감소(단독): 0.5~1.4%

 

⑤부작용

-부종, 체중 증가, 골절, 심부전

 

⑥주의점

-금기: 심부전, 유당 불내성, 활동성 방광암 및 방광암 병력(piolglitazone), 원인이 불명확한 육안적 혈뇨(piolglitazone)

 

 

DPP-4 억제제 (sitagliptin, vildagliptin, saxagliptin, alogliptin, teneligliptin, anagliptin, evogliptin) 

 

①작용 기전 및 복용법 

-Incretin(GLP-1, GIP 증가)

 

-포도당 의존 인슐린 분비 증가 

 

-식후 글루카곤 분비 감소

 

-식후 혈당 개선

 

-식사에 관계없이 복용 

 

 

②체중변화: 없음

 

③저혈당(단독): 없음

 

④당화혈색소: 감소(단독): 0.5~1.0%

 

⑤부작용

-비인두염, 상기도 감염, 혈관 부종

 

-아나필락시스, 스티븐슨-존슨증후군을 포함한 박리성 피부질환, 수포성 유사천포창(만성 수포성 피부질환), 중증의 관절통(sitagliptin)

 

-유사천포창(linagliptin, vildagliptin)

 

⑥주의점

-금기: 유당 불내성 (saxagliptin, vildagliptin)

 

-주의: 췌장염, 췌장암, 심부전의 병력 또는 중증도-중증의 신장애 등,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의 위험요소가 있는 환자(saxagliptin),

심부전 NYHA Ⅲ-Ⅳ: 임상경험이 없어 권장되지 않음(alogliptin, teneligliptin, evogliptin, anagliptin, linagliptin, gemigliptin),

심부전 NYHA Ⅳ: 임상경험이 없어 권장되지 않음(vildagliptin)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억제제 Alpha-glucosidase inhibitors (acarbose, voglibose)

 

①작용 기전 및 복용법 

-상부 위장관에서 다당류 흡수 억제

 

-식후 혈당 개선

 

-하루 3회 식전 복용 

 

 

②체중변화: 없음  

 

③저혈당(단독): 없음

 

④당화혈색소: 감소(단독): 0.5~1.0%

 

⑤부작용

-소화장애(복부팽만감, 방귀 증가, 묽은 변, 배변 횟수 증가 등)

 

⑥주의점

-금기: 소화흡수 장애를 동반한 만성 장질환, 간경변, 중증 신장애 (eGFR < 25), 중증 감염 

 

 

SGLT2 억제제 (dapagliflozin, ipragliflozin, empagliflozin, ertugliflozin)

 

①작용 기전 및 복용법 

-신장에서 포도당 재흡수 억제

 

-소변으로 당 배설 증가 

 

-식사에 관계없이 복용

 

②체중변화: 감소

 

③저혈당(단독): 없음

 

④당화혈색소: 감소(단독): 0.5~1.0%

 

⑤부작용

-요로감염, 생식기 감염, 배뇨 증가, 사구체여과율 감소, 헤마토크리트 증가, 케톤산증

 

 

⑥주의점

-금기: eGFR 45 mL/min/1.73㎡ 미만(약제별 다름)

 

-주의: 고령자, 신장애(용량 조절), 중증 간장애(연구되지 않아 권장되지 않음)

 

 

메글리티니드 Meglitinides (repaglinide, nateglinide, mitiglinide)

 

①작용 기전 및 복용법 

-췌장 베타세포에서 인슐린 분비 증가 

 

-식후 혈당 개선

 

-하루 2~4회 식사 전 복용 또는 매 식사 직전 복용 

 

②체중변화: 증가

 

③저혈당(단독): 있음

 

④당화혈색소: 감소(단독): 0.5~1.0%

 

⑤부작용

-상기도 감염, 변비

 

⑥주의점

-금기: 중증 간 기능 장애, 투석을 필요로 하는 중증의 신 기능 장애(nateglinide)

 

-겜피브로질과 병용 투여 금기(repaglinide)

 

-주의: 중증의 신 기능 장애(repaglinide, mitiglinide)

 

 

GLP-1 수용체 작용제 (exenatide, lixisenatide, liraglutide, dulaglutide)

 

①작용 기전 및 복용법 

-포도당 의존 인슐린 분비 증가

 

-식후 글루카곤 분비 감소

 

-위배출 억제

 

-식후 혈당 개선

 

-식사에 관계없이 피하주사(일 1~2회 또는 주 1회)

 

②체중변화: 감소

 

③저혈당(단독): 없음

 

④당화혈색소: 감소(단독): 0.8~1.5%

 

⑤부작용

-위장관 장애

 

⑥주의점

-금기: 갑상선 수질암의 과거력 또는 가족력, MEN2

 

-주의: 췌장염, 중증 간장애, 신장애, 중증 위 마비를 포함한 중증 위장관 질환에서 권장되지 않음 

 

 

*참고:

1)소책자_2019 당뇨병 진료지침 제6판, 대한당뇨병학회, 2019, 60p

2)site_경구혈당강하제, 삼성서울병원, 당뇨교육실, 당뇨별 관리방법